<목록정보>
국명: 왕비늘사초
영문명: Maximowicz’s sedge
과국명: 사초과
과명: Cyperaceae
속국명: 사초속
속명: Carex
비추천명: 왕비눌사초,풍경사초
정명학명: Carex maximowiczii Miq.
이명학명: Carex pruinosa Boott subsp. maximowiczii (Miq.) Kük.
<상세정보>
분포정보
한국(강원, 경기,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제주), 중국, 일본
노트
물꼬리사초(C. aequialta)에 비하여 과포에 유상돌기가 밀포되며, 자인편의 끝에 까락이 있는 점이 다르다. 또한 가는비늘사초(C. suifunensis)와는 과포가 크며, 수과의 정점이 곧게 뻗는 것이 다르다.
원산지
한국
형태
다년생. 총생한다. 줄기 높이 20-70cm이고, 단면은 날카로운 삼릉형이며, 약간 경질이다. 잎 줄기보다 길이가 짧거나 거의 같고, 엽신은 선형이며, 너비 3-4mm, 가장자리가 뒷면쪽으로 말린다. 기부의 엽초 갈색 또는 적갈색이고, 섬유상으로 가늘게 갈라진다. 포엽 아래쪽 포엽은 잎모양이고, 화서보다 길이가 길며, 위쪽 포엽은 강모 또는 인편모양이다. 소수 2 또는 3개, 정소수는 웅성이고, 가는 원주형이며, 길이 20-40mm의 소수자루가 있다. 측소수는 자성이고, 긴 원주형이다. 길이는 25-30mm이고, 너비는 8-9mm이며, 길이 1-4cm의 소수자루가 늘어진다. 웅인편 갈색이고, 길이 4-4.2 mm, 예두 또는 짧은 까락이 있다. 자인편 갈색이고, 길이 4.5-5mm, 예두이며, 중앙맥이 짧은 까락을 만든다. 과포 적갈색이고, 자인편보다 길이가 짧거나 같으며, 광란형으로 길이 3.6-5.3mm, 너비 3-3.5mm, 유두상 돌기가 밀포한다. 부리는 짧고, 구부는 평두이다. 수과 광란형으로 길이 1.7-2mm이다. 주두 2개로 갈라진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왕삿갓사초 (0) | 2023.02.25 |
---|---|
[식물도감] 왕사방오리 (0) | 2023.02.25 |
[식물도감] 왕보리수나무 (0) | 2023.02.25 |
[식물도감] 왕별꽃 (0) | 2023.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