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왕벚나무

MinorMan 2023. 2. 25. 02:00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왕벚나무

과국명: 장미과

과명: Rosaceae

속국명: 벚나무속

속명: Prunus

비추천명: 사구라나무,사꾸라,큰꽃벗나무

정명학명: Prunus × yedoensis Matsum.

이명학명: Cerasus yedoensis (Matsum.) Masam. & S.Suzuki


<상세정보>

방제방법

▶백분병: 타이젠을 봄부터 몇 차례 뿌리며, 병든 잎은 따서 태워 버린다.

▶천공 갈반병: 잎이 피기 시작할 때 보르드액은 2주일 간격으로 7월 하순까지 뿌리고 역신 병든잎은 태워 버린다.

▶천구소병: 병든 가지의 병든 부위까지를 5-6월 이전에 잘라 병원균이 번지지 않게 하며 봄 싹트기 전에 석회 보르드액이 나 석회유황합제를 뿌려 예방한다. ▶해충: 티프테렉스를 뿌려 살충한다.


번식방법

▶번식은 실생과 무성생식으로 한다.

①실생 : 종자를 채취한 뒤 건조하지 않도록 모래와 섞어서 저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②무성생식 : 벚나무를 대목으로 접목을 하면 가능한데 접목시에는 빨리 노쇠하는 경향이 있으나, 대목을 무엇을 사용하였느냐에 따라서 수명에 차이가 있다. 접목은 절접(切接)과 아접(芽接)으로 실시 한다. 8월에 녹지삽목으로도 50%이상의 발근율을 얻기도 한다.


병충해정보

▶병해 : 백분병, 천공 갈반병, 천구소병.

▶충해 : 흰불나방, 털벌레.


분포정보

제주도.


재배특성

이식력은 보통이다.


꽃설명

꽃은 4월 초 ~ 중순에 잎보다 먼저 피며, 백색 또는 홍색이고, 짧은 편평꽃차례에 3 ~ 6개의 꽃이 달린다. 작은꽃대는 길며 털이 있고, 꽃받침통은 원통형으로, 털이 있거나 없고; 암술대에는 털이 있다.


열매설명

열매는 핵과로, 구형이며, 지름은 7 ~ 8mm이고, 검은색으로, 6 ~ 7월에 성숙한다.


생육환경설명

▶양수이며 토심이 깊고 비옥한 토양에서 생장이 양호하며 내한성이 약하여 중부 내륙지방에서는 월동이 다소 곤란하다.

▶양지에서 개화가 잘되며 내조성은 강한 편이나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은 보통이다. 수명이 짧고 내병충해성도 약하다.

▶한라산의 해발 500-900m 사이에 드물게 자란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상 달걀꼴이고, 점첨두 원저이며, 길이는 6 ~ 12cm로, 뒷면의 맥 위와 잎자루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예리한 이중 거치 발달했다.


원산지

한국


수피

나무껍질은 평활하며 회갈색 또는 암회색이고 일년생가지에 잔털이 약간있다.


보호방안

한라산에 1~2곳의 자생지가 있으며, 왕벚나무의 기원이 있는 역사적인 곳이다. 개체수가 매우 적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뿌리설명

원뿌리와 곁뿌리가 있으며, 잔뿌리가 많지 않다.


형태

낙엽 활엽 교목.


유사식물설명

▶제주벚나무 for.nudiflora REHDER : 꽃받침, 꽃자루 및 꽃받침통에 털이 거의 없으며 한라산(표고 600m근처)에서 자란다.

▶올벚나무(Prunus subhirtella for. ascendens Ohwi)

▶섬벚나무(Prunus pendula Maxim for. ascendens Ohwi)

▶벚나무(Prunus takesimensis Nakai)

▶개벚나무(Prunus serrulata Lindl. var. spontanea Wilson)

▶산벚나무(Prunus sargentii Rehder)


특징

▶P.lannesiana 와 올벚나무의 잡종으로 보고 있다.

▶수형: 구형(가지의 신장은 분산형)

▶왕벚나무 연구의 학술재료로서 가치가 있는 것이다. 제주도가 왕벚나무의 자생지의 사실이 밝혀졌지만 당시 일본인 학자들은 이것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는데에 신중을 기한다는 표현으로 주저했던 것이고 그래서 지정이 보류되기도 했다.

제156호 - ⓐ소재지: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신례리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 ⓒ면적:9,917㎡

,제159호 - ⓐ소재지: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봉개동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 ⓒ면적:1,322㎡

,제173호 -ⓐ소재지:전라남도 해남군 대둔산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 ⓒ면적:64,793㎡

▶일본 사람들은 떡을 벚나무 잎에 싸는 풍습이 있는데 그것을 벚나무떡이라 부른다.


줄기설명

일년생가지에 잔털이 있고, 나무껍질은 평활하며 회갈색 또는 암회색이고 일년생가지에 잔털이 약간있다.


크기설명

높이 15m.


사용법

▶목재는 조직이 치밀하고 비틀어지는 일이 없어서 가구재, 기구재, 건축내장재로 쓰인다.

▶공원수나 독립수, 군식용, 녹음수 및 가로수로 적합하다.

▶껍질은 세공용으로 이용된다.

▶열매는 식용으로 쓴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왕보리수나무  (0) 2023.02.25
[식물도감] 왕별꽃  (0) 2023.02.25
[식물도감] 왕버들  (0) 2023.02.25
[식물도감] 왕배풍등  (0) 2023.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