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왕대

MinorMan 2023. 2. 24. 02:31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왕대

영문명: Giant japanese timber bamboo

과국명: 벼과

과명: Poaceae

속국명: 왕대속

속명: Phyllostachys

정명학명: Phyllostachys reticulata (Rupr.) K.Koch.

이명학명: 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old & Zucc.


<상세정보>

번식방법

▶땅속줄기, 근주, 모죽, 죽묘법에 의해 번식한다. 번식방법은 3월경에 대나무를 굴취하여 이식하거나, 죽묘를 생산하여 증식한다.


분포정보

중국; 남부에 식재.


꽃설명

꽃차례는 길이 5 ~ 10cm이고, 포는 거꿀달걀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끝에 달린 잎몸은 달걀형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10 ~ 30mm로, 각 포에 1 ~ 5개의 암수한꽃과 암수딴꽃이 들어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3cm이며 둘째 포영과 더불어 털이 있고, 내영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3 ~ 4mm로 연모가 있으며 4월에 드물게 개화한다.


열매설명

열매는 밀알모양이며 5월 ~ 6월에 성숙한다.


생육환경설명

토심이 깊고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라며 음지보다 양지를 좋아한다.


잎설명

잎은 3 ~ 7개(흔히 5 ~ 6개)씩 달리고 피침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10 ~ 20cm × 12 ~ 20mm로 잔톱니가 있고 견모는 5 ~ 10개가 개출되어 오랫동안 남아있다.


원산지

중국 원산


뿌리설명

땅속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어나가며 6월에 죽순이 나오는데 죽순 껍질에는 자주색의 반점이 있다.


형태

상록 활엽.


유사식물설명

▶포대죽(P. aurea) : 중국 원산으로 여러 곳에서 식재한다. 줄기는 연한 황색이며 마디가 기부에서는 밀집되어 있다.

▶대명죽(Pleioblastus Granineus)

▶한산죽(P. hindsii)


특징

대나무는 1년 동안 20m까지도 자라는데, 생장은 그것으로 완료되며 이후 2-3년에 걸쳐 더 견고해진다. 한 번 꽃을 피우고 난 후에는 고사하므로 그 지역이 모두 폐죽림이 된다.


줄기설명

녹색에서 황록색으로 되고, 포는 일찍 떨어지며 털이 있고, 잎몸이 있다.


크기설명

높이 20m(추운 곳에서는 높이 3m, 지름 1cm).


사용법

▶식용하며 또한 공업용으로도 쓰인다.

▶줄기를 세공용 자재로 쓰인다.

▶관상용으로 집 주변에 심는다.

▶방풍죽림 조성에도 적당하다.

▶根莖(근경) 및 根(근)을 斑竹根(반죽근), 花(화)는 斑竹花(반죽화), 筍(순)의 皮(피)는 斑竹殼(반죽각)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斑竹根(반죽근)

①9-10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祛風(거풍), 除濕(제습), 祛肺寒(거폐한)의 효능이 있다. 氣喘痰咳(기천담해), 四肢筋骨(사지근골)의 頑固痛(완고통)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⑵斑竹花(반죽화) - 猩紅熱(성홍열)을 치료하는데 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⑶斑竹殼(반죽각) - 淸血熱(청혈열)에 효능이 있다. 불에 구워 재(灰)로 만들어 복용하면 發疹(발진)을 透疹(투진)시킨다. 6-9g(털은 제거)을 달여서 복용한다. 불에 구워 재로 만들어 沖腹(충복)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왕매발톱나무  (0) 2023.02.24
[식물도감] 왕둥굴레  (0) 2023.02.24
[식물도감] 왕다람쥐꼬리  (0) 2023.02.24
[식물도감] 왕느릅나무  (0) 2023.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