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오리나무

MinorMan 2023. 2. 23. 05:50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오리나무

영문명: East Asian alder

과국명: 자작나무과

과명: Betulaceae

속국명: 오리나무속

속명: Alnus

비추천명: 너른닢잔털오리나무,물오리나무,뾰족잎오리나무,섬오리나무,오리목,웅기오리나무,잔털오리나무

정명학명: Alnus japonica (Thunb.) Steud.

이명학명: Alnus japonica (Thunb.) Steud. var. reginosa Nakai


<상세정보>

방제방법

▶녹병:병에 걸린 낙엽을 긁어 모아 태우고 4월 중.하순경의 발아 직전에 석회유황 합제 5%액을 수관에 철저히 살포해 준다. 매년마다 이 병이 심한 과원은 장마가 끝난 후에 다이센 M-45 600배액 또는 디포라탄 800배액을 10-15일 간격으로 3회 이상 살포하여 예방에 힘쓴다.

▶잎마름병:배수가 잘 되도록 하고 질소 비료를 적게 시용하며 나무아래에 부초를 해준다. 발병 초기에는 다이센 M-45 600배액 이나 디포라탄 800배액 또는 안트라콜 800배액을 7-10일 간격으로 3-4회 정도 살포한다.

▶점무늬병:농용 신수화제(아그렙토,브라마이신 등)800배액 또는 6-6식 보르드액을 6월 하순-8월까지 3-4회 살포한다.

▶빗자루병:접목전염과 곤충전염으로 확산되므로 전염경로를 차단하는것이 효율적이며 치료법중 실용적인 방법은 테라마이신의 수간주입법이다.

▶갈색무늬병 : 7월 상순부터 2주간격으로 4-4식 보르도액을 뿌린다.

▶흰가루병 : 한 여름에 다이센, 카라센, 보르도액(4-4식), 톱신 등을 뿌린다.

▶박쥐나방 : 6월 이전에 임지내의 잡초를 제거, 지표에 마라톤 1,000배액 등 살충제를 살포한다. 유충진입공에 마라톤 등 살충제(500-1,000배)를 주입하고 진흙 등으로 막는다

▶미국흰불나방 : 유충가해기에 슈리사이드, 디프 50%유제, 80%수용재 1,000배액을 수관에 살포한다.

▶오리나무 잎벌레 : 유충가해기인 5월하순에서 7월하순에 디프제 1,000배액, 나크 3% 분제(ha당 40kg) 등을 수관에 살포한다. 4월 하순에서 5월 상순, 7월-8월에 성충을 포살한다.

▶풍뎅이류 : 성충가해기에 메프 2%분제 또는 나크 3% 분제를 10a 당 5-6kg 살포한다.


가지

일년생가지는 매끄럽고 갈색 또는 자갈색으로 잘게 갈라지며 털이 있거나 없고 약간 능선이 지며 껍질눈이 뚜렷하고 동아에 대가 있다.


번식방법

▶번식방법은 실생으로 9~10월에 약간 푸른색 열매를 채취하여 양건하고 탈곡하여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 보관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파종상이 건조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병충해정보

▶병해 : 비늘잎오갈병, 빗자루병, 녹병, 흰가루병, 갈색무늬병, 점무늬병, 잎마름병.

▶충해 : 오리나무잎벌레, 미국흰불나방, 풍뎅이류, 박쥐나방.


분포정보

극동러시아, 일본, 중국; 한반도 전역에 분포, 주로 경기도와 강원도


재배특성

생장속도는 빠르다.


꽃설명

꽃은 3월 초 ~ 4월 말에 피고 암수한그루이고 이삭꽃차례로 달린다. 수꽃차례는 길이 4~9cm로서 각 포에 3~4개씩 늘어져 달리고 화피와 수술은 각 4개이며 암꽃차례는 긴 달걀꼴이고 각 포에 암꽃이 2개씩 달린다.


열매설명

과수는 2~6개씩 달리며 길이 1.5 ~ 2.5cm로서 긴 달걀모양이고 종자는 편평한 넓은 타원형 또는 거꿀달걀형이며 길이 3~4mm로서 양쪽에 날개가 있으나 뚜렷치 않다. 열매는 견과로서 10월에 성숙한다.


생육환경설명

▶저습지에서 자란다. 습지식생으로 비옥한 하천유역이나 계곡, 호수가 등 전국에 식재 가능하다.

▶양수이나 어려서 음지에서도 잘 자라며 내한성이 강하고 대기오염에도 강하며 바닷가에서도 잘 자란다. 생장속도가 빠르고 수명이 길다. 내한성이 크고 맹아력이 강해 해안지방이나 도심지에서도 잘 자란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로 양면에 광택이 있는 긴 타원형, 피침상 달걀꼴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예첨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6 ~ 12cm × 4.5 ~ 5cm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으며 뒷면 맥액에 적갈색 털이 모여나고 잎자루는 길이 2~4cm, 잎맥 7 ~ 8개이다.


원산지

한국


형태

낙엽 활엽 교목.


유사식물설명

▶뾰족잎오리나무(var. arguta Call.): 잎 끝이 매우 뾰족하다.

▶털오리나무(var. rufa Nak.): 일년생가지와 잎 뒷면에 갈색 털이 밀생한다.

▶웅기오리나무(var. resinosa Nak.): 일년생가지와 잎에 점성이 많다.

▶섬오리나무(var. serrata Nak.): 잎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특징

▶경북 청송군 현동면 월매리 하천에 높이 15m, 직경 1m나 되는 거목군이 있다.

▶변재는 담황갈색, 심재는 회갈색으로 심·변재의 구분이 불분명하고 벌채시 단면이 백색에서 차츰 홍색으로 변화하며 연륜계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방사상의 산공재로 나무갗은 치밀하고 고우며 가볍고 연하며 향기가 있고 내후, 보존, 절삭가공성은 보통이며 잘 갈라져 건조가 곤란하다.


줄기설명

높이 20m, 지름 70cm로서 통직하다. 일년생가지는 매끄럽고 갈색 또는 자갈색으로 잘게 갈라지며 털이 있거나 없고 약간 능선이 지며 껍질눈이 뚜렷하고 동아에 대가 있다.


크기설명

높이 20m, 지름 70cm.


사용법

▶주요 조림수종 : 내공해 수종

▶다습하여 수목식재가 곤란한 지역에서도 잘 자라므로 이러한 곳에 식재하면 좋다.

▶목재는 재질이 치밀하여 건축, 기구, 손잡이, 칠기재, 성냥축목, 연필재, 가구, 선박, 펄프로 이용된다.

▶열매와 나무껍질에서 염료과 타닌을 채취한다.

▶조경가치 및 용도 : 생육속도가 빠르며 습지나 척박지에서도 생육이 잘되기 때문에 녹음수, 자연보전용 또는 사방용으로 이용되며 고속도로변, 공원 등에 식재할 수 있다. 공기질소를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는 수종으로 알려져 있다.

▶枝葉(지엽) 및 樹皮(수피)를 赤楊(적양)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오리나무가 어릴 때의 부드러운 지엽 및 수피로서, 봄,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Lupenone, β-amylin, glutenol, taraxerol, betulinic acid 등 다종의 triterpenoid 외에 β-sitosterol, heptacosane, 脂肪族(지방족) alcohol, pyrocatechol 系(계) tannin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降火(강화)의 효능이 있다. 육혈, 血便(혈변), 腸炎(장염), 설사, 外傷出血(외상출혈)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20-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하거나 粉末(분말)로 하여 바르거나 개어서 붙인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오리방풀  (0) 2023.02.23
[식물도감] 오리나무더부살이  (0) 2023.02.23
[식물도감] 오랑캐장구채  (0) 2023.02.23
[식물도감] 오동나무  (0) 2023.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