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애기모람

MinorMan 2023. 2. 18. 04:11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애기모람

영문명: Little climbing fig

과국명: 뽕나무과

과명: Moraceae

속국명: 무화과나무속

속명: Ficus

비추천명: 왕모람

정명학명: Ficus thunbergii Maxim.

이명학명: Ficus fauriei H.Lév. & Vaniot


<상세정보>

분포정보

중국, 일본, 한국(전남, 경남, 제주)


노트

본 분류군의 국명으로 Lee (2006)는 왕모람, Chang et al. (2011)은 애기모람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Lee (2003)는 왕모람의 학명으로 F. pumila L.의 이명인 F. stipulata Thunb.를, Chang et al. (2011)은 F. pumila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F. pumila는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Yokoyama, 2001).


원산지

한국


형태

생활형은 덩굴성 상록 관목이며, 자웅이주이다. 줄기는 수피는 회백색을 띤다. 묵은 가지는 덩굴성으로 자라거나, 곧추서서 자라고, 기근으로 바위나 나무에 붙어 자란다. 일년생 가지는 갈색이며, 짧은 털이 밀생한다. 잎은 호생이며, 단엽이다. 엽병의 길이는 5.9∼17.1mm이며, 갈색이고, 잔털이 밀생한다. 엽신 의 형태가 어린 잎은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2∼3개의 결각이 있고, 성숙한 잎은 난형 또는 도란형이 며, 크기는 2.3∼5.1 x 1.3∼2.1cm이다. 엽선은 긴 예두이고, 엽연은 전연이며, 엽저는 원저이다. 소질은 두꺼운 혁질로, 앞면은 광택이 있으며, 짙은 녹색이고, 이면은 밝은 녹색이다. 엽맥은 뚜렷하게 돌출하 며, 털이 있다. 화서는 은두화서로, 엽액에 1개씩 달리며, 화낭은 기저의 포엽은 3개이다. 수화낭은 화경 길 이가 4.7∼16.3mm이며, 구형으로, 크기는 7.4∼18.3 x 14.2∼19.2mm이며, 털이 있다. 화낭 속에는 수 꽃과 짧은 암술대를 갖는 충영꽃인 암꽃이 섞여 있으며, 2년차에 성숙한다. 암화낭은 화경 길이가 3.9∼ 9.8mm이며, 구형으로, 크기는 10.5∼18.5 x 7.4∼16.6mm이다. 화낭 속에는 긴 암술대를 갖는 암꽃만 있으며, 당해 연도에 성숙한다. 꽃은 개화기는 7∼8월이며, 단성화이고, 불완전화이다. 수화낭 속에 있는 수꽃은 화낭 내에 흩어져 있으며, 화피편은 3∼4개이고, 난상 피침형으로, 크기는 1∼1.7 x 0.4∼1mm이며, 수술은 2개이고, 수술대의 길이는 1.2∼4.5mm, 약의 길이는 0.7∼1.5mm이다. 수화낭 속에 있는 충영꽃인 암꽃의 화피편은 4∼6개이며, 도란상 주걱형으로 크기는 1∼2.4 x 0.2∼0.5mm이고, 암술대 의 길이는 0.2∼0.7mm로, 암화낭에 있는 암꽃의 암술대 보다 짧다. 암화낭 속에 있는 암꽃의 화피편은 2∼5개이고, 주걱형으로 크기는 0.4∼1.3 x 0.1∼0.4mm이며, 암술대의 길이는 0.5∼1.8mm이다. 은화과 10월∼다음해 1월에 암화낭이 비대, 성숙한다. 은화과로, 과병의 길이는 4.5∼7.6mm이고, 과낭은 구형으로, 크기는 19.6∼25.8 x 20.3∼27mm이다. 흑자색으로 익으며, 털이 있다. 열매는 수과로서 난상 타원형이며, 크기는 1.5∼2.2 x 0.5∼1mm이고, 밝은 황색이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애기범부채  (0) 2023.02.18
[식물도감] 애기버어먼초  (0) 2023.02.18
[식물도감] 애기방동사니  (0) 2023.02.18
[식물도감] 애기며느리밥풀  (0) 2023.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