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실새삼

MinorMan 2023. 2. 14. 01:37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실새삼

영문명: Australian dodder

과국명: 메꽃과

과명: Convolvulaceae

속국명: 새삼속

속명: Cuscuta

정명학명: Cuscuta australis R.Br.

이명학명: Cuscuta rogowitschiana Trautv.


<상세정보>

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분포정보

전남, 경남, 강원, 경기, 평북, 함남에 야생한다.

일본 오키나와, 대만, 중국,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한다.


꽃설명

꽃은 7-8월에 피며 백색이고 가지의 각 부분에 취산꽃차례 또는 총상꽃차례가 덩어리처럼 달리며 화경은 짧고, 꽃자루가 달린 잔꽃이 밀생한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서 넓은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약간 육질이며 화관길이의 1/2-2/3이다. 꽃부리는 짧은 종형이고 5개로 갈라지며 판통은 열편과 길이가 비슷하고 2개로 갈라진 비늘조각이 있으며 열편은 넓은 타원형이고 원두이다. 수술은 5개로서 꽃부리에 달리며 열편과 어긋나기하고 판통 밖으로 나오며 씨방은 편평한 원형이고 4개의 비주가 있으며 암술대는 2개로서 길이 1mm정도이고 암술머리는 점상이다.


열매설명

삭과는 편구형이며 껍질이 얇고 밑부분에 꽃받침이 달려 있으며 지름 4mm정도로서 중앙부가 오그라들어 2개의 방으로 되고 각 실에 종자가 2개씩 들어 있으며 종자는 넓은 달걀모양으로서 겉이 밋밋하고 황백색이다. 종자를 토사자라 한다.


생육환경설명

각처의 들, 밭둑, 콩밭에 나며 콩(大豆)에 기생한다.


잎설명

비늘같은 잎이 드문드문 어긋나기한다.


원산지

한국.


뿌리설명

뿌리가 없다.


형태

기생 덩굴성 한해살이풀 .


유사식물설명

▶새삼(C. japonica) : 협과는 타원형이고 완전히 익으면 뚜껑이 열려 속에 든 씨가 나온다.

▶갯실새삼(C. chinensis)


특징

새삼에 비해 아주 가늘고, 콩밭을 전멸시키는 기생 식물이다.


줄기설명

길이가 50cm에 달하며 전체에 털이 없고 왼쪽으로 감으면서 뻗으며 황색이고 실모양으로서 기주(寄主)에 감아 올라간다.


크기설명

길이 50cm 내외이다.


사용법

▶새삼/실새삼/갯실새삼의 全草(전초)는 토사, 종자는 토사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토사

①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갯실새삼의 전초는 amylase, 비타민을 함유한다.

③약효 : 淸熱(청열), 凉血(양혈), 利水(이수), 해독의 효능이 있다.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便血(변혈), 血崩(혈붕), 淋濁(임탁), 帶下(대하), 이질, 황달, 癰疽(옹저), (정창), 熱毒瘡疹(열독창진)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씻거나 짓찧어서 바른다. 또는 짓찧어 낸 즙을 바른다.

⑵토사자

①7-9월에 걸쳐 종자가 성숙했을 때 寄主(기주)와 함께 잘라서 햇볕에 말려 종자를 채취한다.

②성분 : 갯실새삼은 樹脂配糖體(수지배당체), 糖類(당류)를 함유한다. 실새삼은 배당체, 비타민A類(류)를 함유하며, 함유율은 비타민A로 해서 계산햐면 0.0378%가 된다.

③약효 : 强精(강정), 强壯藥(강장약)으로서 補肝腎(보간신), 益精髓(익정수), 明目(명목)의 효능이 있다. 腰膝酸痛(요슬산통), 遺精(유정), 음위, 당뇨, 冷症(냉증), 습관성 유산, 消渴(소갈), 尿(뇨)에 餘瀝(여력)이 있는 것, 目暗(목암-시력감퇴)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볶아서 粉末(분말)로 만들어 조합하여 塗布(도포)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실쑥  (0) 2023.02.14
[식물도감] 실새풀  (0) 2023.02.14
[식물도감] 실사초  (0) 2023.02.14
[식물도감] 실사리  (0) 2023.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