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실고사리
영문명: Vine-like fern
과국명: 실고사리과
과명: Lygodiaceae
속국명: 실고사리속
속명: Lygodium
정명학명: Lygodium japonicum (Thunb.) Sw.
이명학명: Hydroglossum japonicum (Thunb.) Willd.
<상세정보>
번식방법
늦가을에서 이른봄에 맹아가 붙은 근경을 잘라 심는다.
분포정보
일본, 대만, 중국, 필리핀, 베트남,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 네팔, 호주
재배특성
어느 정도의 추위에는 견딜 수 있으나 겨울철 공중 습도가 낮은 중북부 내륙에서는 노지 재배가 불가능하다.
생육환경설명
숲 속이나 산야의 양지 바른 곳
잎 엽병
원줄기처럼 되어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가면서 길이 2m내외로 자라며 잎처럼 보이는 우편이 호생한다.
잎 엽신
우편은 처음 1쌍의 소우편이 갈라지면서 생장이 중지되고 끝에 눈이 생기므로 차상으로 갈라지는 것처럼 보인다. 소우편은 3출상이며 2-3회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성긴 털이 있다. 특히 열편은 길게 자라서 뒷면 가장자리에 포자낭군이 달리고 포자낭군이 많이 달리는 열편은 더욱 잘게 갈라지기도 한다.
원산지
한국
생육상 구분
하록성이다.
포자 위포막
가장자리는 불규칙한 톱니처럼 되며 털이 있다.
줄기 근경
딱딱하고 땅 속을 기며 지름이 3-4mm이고, 길이 1mm쯤의 검은 털이 있다.
크기설명
길이 1-4m
사용법
▶노지에 심어 유인재료에 올리거나 둥근 평분에 심어 지주를 세워 유인 재배하여 감상하거나 실내 조경용 덩굴소재로 이용한다.
▶全草(전초)는 海金沙草(해금사초), 성숙한 포자는 海金沙(해금사), 뿌리와 근경은 海金沙根(해금사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海金沙草(해금사초) ①실고사리 전초를 8-9월에 채취한다. ②성분 : amino acids, 糖類(당류), flavonoid 배당체와 phenol류(類)가 함유되어 있으며 잎에는 flavonoid 류(類)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해독, 利水(이수), 通淋(통림)의 효능이 있다. 尿路感染症(요로감염증), 尿路結石(요로결석), 白濁帶下(백탁대하), 腎炎(신염)으로 인한 水腫(수종), 濕熱黃疸(습열황달), 감기로 인한 발열, 咳嗽(해수), 咽喉腫痛(인후종통), 장염, 이질, 화상, 丹毒(단독)을 치료한다. 특히 淋病(임병)으로 熱痛(열통)이 있는 것과 小便不利(소변불리), 근육 및 深部(심부)의 疼痛(동통)을 치료하고 百日咳(백일해)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24-30g(신선한 것이면 30-90g)을 달이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 : 煎液(전액)으로 씻거나 짓찧어서 바른다.
⑵海金沙(해금사) ①약효 : 淸凉性(청량성) 消炎(소염)利尿劑(이뇨제)로서 淸熱(청열), 해독, 利水(이수)通淋(통림)의 효능이 있다. 尿路感染(요로감염), 尿路結石(요로결석), 白濁(백탁), 白帶(백대), 肝炎(간염), 腎炎水腫(신염수종), 咽喉腫痛(인후종통), 유행성이하선염, 장염, 이질, 피부습진, 帶狀疱疹(대상포진), 濕熱腫滿(습열종만), 小便熱淋(소변열림), 膏淋(고림), 血淋(혈림), 石淋(석림), 陰莖痛(음경통)을 치료하며 熱毒氣(열독기)를 푼다. 간염, 腎性乳腫(신성유종), 피부습진, 수두, 혈뇨, 급성으로 발열증상을 수반하는 치통, 喉蛾(후아, 급성편도선염), 白喉(백후, 주로 디프테리아), 小兒疳積(소아감적)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4.5-9g을 달이거나 가루 내어 복용한다.
⑶海金沙根(해금사근) ①약효 : 淸熱(청열), 해독, 利濕(이습),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간염, 일본뇌염, 급성위장염, 황달형간염, 濕熱腫滿(습열종만), 淋病(임병)을 치료한다. 興奮(흥분)强壯劑(강장제)로 사용되며 허약을 보할 수 있으며 노해를 치료하고 타박상, 筋骨痛(근골통), 유행성감기 등으로 인한 熱狂(열광), 陰莖痛(음경통)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신선한 것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실꽃풀 (0) | 2023.02.14 |
---|---|
[식물도감] 신부채붓꽃 (0) | 2023.02.14 |
[식물도감] 신나무 (0) | 2023.02.14 |
[식물도감] 신감채 (0) | 202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