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쇠물푸레나무

MinorMan 2023. 2. 7. 01:56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쇠물푸레나무

영문명: Asian flowering ash

과국명: 물푸레나무과

과명: Oleaceae

속국명: 물푸레나무속

속명: Fraxinus

비추천명: 계룡쇠물푸레,백운쇠물푸레,백운쇠물푸레나무,쇠나무,쇠물푸레,좀쇠물푸레나무

정명학명: Fraxinus sieboldiana Blume

이명학명: Fraxinus sieboldiana Blume f. tobana (Honda) Koidz.


<상세정보>

번식방법

번식은 가을에 익는 종자를 서리가 내리기 전에 채취하여 노천매장하였다가 파종한다.


분포정보

일본 / 황해도, 경기도 이남에 분포(강원도 극히 일부 지역에서도 확인).


꽃설명

꽃은 5월에 암수딴그루로 5월에 피며 새가지에서 정생 또는 액생하는 길이 6 ~ 12cm의 원뿔모양꽃차례에 달리고, 꽃받침조각은 톱니처럼 작으며 꽃잎은 선형이고 수술과 길이가 같고 수술은 2개이며 암꽃에 퇴화된 작은 수술이 있다.


열매설명

열매는 시과로 선상 피침형 또는 거꿀피침모양이고 날개와 더불어 길이 2cm 정도이며 9월에 홍자색으로 익는다.


생육환경설명

내한성이 강하여 중부 내륙지방에서도 월동하고 대기오염에는 약하다.


잎설명

잎은 마주나기하며 홀수깃모양겹잎이고, 소엽은 5 ~ 9개이며 달걀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5 ~ 10cm × 1.5 ~ 3.5cm로, 표면은 녹색 또는 홍녹색이며 털이 없고 뒷면 주맥에 흰색 털이 있으며,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고 총잎자루 표면에 홈이 있다.


원산지

한국


형태

낙엽 활엽 소교목.


유사식물설명

▶좀쇠물푸레(var.angustata Bl.):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거의 없다.


특징

꽃은 야생의 향기가 매력적이며 수세와 맹아력이 강하다.


줄기설명

일년생가지는 회갈색이고 어릴 때는 흔히 잔털이 있다.


크기설명

높이 10m.


사용법

▶농·산촌지역의 가로수나 척박한 임지에 유용한 조림수종으로 적합하다.

▶목재는 재질이 단단하고 견고하여 건축재나 가구재,기구재,운동구재로 사용한다.

▶물푸레나무/쇠물푸레나무/좀쇠물푸레의 나무껍질을 秦皮(진피)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 가을에 枝皮(지피) 또는 幹皮(간피)를 벗겨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물푸레나무의 나무껍질에는 aesculin(esculin), aesculetin(esculetin) 및 그 외 6-β-d-glucoside인 aesculin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燥濕(조습), 平喘(평천), 止咳(지해), 明目(명목)의 효능이 있다. 세균성이질, 腸炎(장염), 白帶下(백대하), 만성기관지염, 目赤腫痛(목적종통), 淚液分泌過多症(누액분비과다증), 魚鱗癬(어인선)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4.5-9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또는 丸劑(환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는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사철나무  (0) 2023.02.08
[식물도감] 쇠방동사니  (0) 2023.02.07
[식물도감] 쇠무릎  (0) 2023.02.07
[식물도감] 쇠뜨기말풀  (0) 2023.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