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쇠뜨기

MinorMan 2023. 2. 7. 01:50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쇠뜨기

영문명: Field horsetail

과국명: 속새과

과명: Equisetaceae

속국명: 속새속

속명: Equisetum

비추천명: 뱀밥,즌슬,필두채

정명학명: Equisetum arvense L.

이명학명: Equisetum arvense L. f. arcticum (Rupr.) M.Broun


<상세정보>

번식방법

▶5월경 포자주머니가 부풀어 포자가 날아가지 직전에 줄기를 꺾어다 채종하여 보면 포자에 4개의 실이 살려있는데 직파한다. 얇게 복토한다.

▶포기나누기: 옆으로 줄기가 잘 뻗으므로 지상경에 땅속줄기를 붙여서 쪼개어 20cm간격으로 심으면 된다. 봄, 장마 때 가을 어느때고 할 수 있다.


분포정보

온대, 난대 지역


재배특성

집단재배 할 때는 농경지에 퍼지면 다른 작물에 지장을 주게 되므로 개간지같은 곳을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블록같은 것으로 구획을 지어서 퍼지는 것을 방지한다.


생육환경설명

양지의 초지


원산지

한국


보호방안

▶앞으로 대량수요는 기대할 수 있는 전망이지만 채집이 쉬워서 공해지역의 것이 아니라는 보증과 장점이 있어야 하고 대기업과의 계약재배로서 판로를 개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정에서도 세발용, 세탁물 표백용, 그릇닦는데 이용되는 등 우리가 몰랐던 자연물 이용으로 화학공해를 추방할 수도 있어 쇠뜨기는 새로운 각도에서 재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육상 구분

하록성이다.


유사식물설명

속새(Equisetum hyemale L.)


포자 포자낭수

장타원형이며 길이 2-4cm로 자루가 있다.


줄기 근경

땅 속을 길게 뻗는다.


줄기 포자경

이른 봄에 영양경 보다 일찍 나오고 연갈색이며, 길이 8-35cm정도 이다. 가지를 치지 않고 마디의 엽초는 길이 15mm정도로 영양경의 엽초보다 더 크며 끝에 포자낭수가 생긴다. 포자를 산포한 후 말라 죽는다.


줄기 영양경

포자경이 나온 이후에 나오고, 길이 10-60cm, 지름 1.5-3.5mm정도이며, 속이 비어 있고 겉에 6-11개 정도의 능선이 있다. 마디에서 능선과 같은 수의 가지가 윤생하며 다시 갈라지기도 한다. 엽초는 녹색이며 암갈색 치편과 함게 길이가 5mm쯤 되며 치편 수는 8-10개 정도이다.


크기설명

높이 30-40cm로 자란다.


사용법

▶쇠뜨기로 빚은 술은 피로회복, 강장강정, 기력증진 등에 좋다. 쇠뜨기는 장기복용할 수 있다. 이밖에 생즙이나 시럽으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화장품이나, 샴프, 린스용으로도 외국에서는 상품화되고 있다.

▶생식경은 식용으로 하고, 영양경은 민간에서 이뇨제로 10g 을 달여 쓴다.

▶全草(전초)를 門荊(문형)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5-7월에 전초를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②성분 : equisetonin, equisetrin, isoquercetin, galuteolin, 규산(함유량은 건조생약의 5.19-7.77%), 유기산, 지방, β-sitosterol, palustrine, dimethylsulfone, thymine, 3-methosypyridine, 다종의 amino acids를 함유한다. 포자는 articulatin, octacosane-dicarboxylic acid, triacontane-dicarboxylic acid, triacontane-dicarboxylic acid dimethylester, gossypitrin, herbacetrin을 함유한다.

③약효 : 淸熱(청열), 凉血(양혈), 止咳(지해), 利水(이수)의 효능이 있다. 토혈, 鼻出血(비출혈), 장출혈, 객혈, 痔出血(치출혈), 혈변, 倒經(도경- 代償性月經(대상성월경)), 咳嗽氣喘(해수기천), 淋病(임병), 結氣瘤痛(결기유통- 氣瘤(기류)로 인한 통증), 上氣氣急(상기기급), 월경과다, 요로감염, 小便澁痛(소변삽통), 골절 등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9g(신선한 것이면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 짓찧어서 바르거나 가루 내어 조합해서 바른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쇠무릎  (0) 2023.02.07
[식물도감] 쇠뜨기말풀  (0) 2023.02.07
[식물도감] 쇠돌피  (0) 2023.02.07
[식물도감] 쇠낚시사초  (0) 2023.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