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소리쟁이
영문명: Curled dock
과국명: 마디풀과
과명: Polygonaceae
속국명: 소리쟁이속
속명: Rumex
비추천명: 긴소루쟁이,송구지
정명학명: Rumex crispus L.
이명학명: Rumex elongatus Guss.
<상세정보>
번식방법
▶실생 및 분주로 번식한다. 파종은 씨가 떨어지기 전에 채종하여 직파한다. 밀파하는 것이 연하고 긴 순을 수확할 수 있다.
분포정보
▶세계적으로 북미, 북아프리카, 아시아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꽃설명
엷은 녹색의 원뿔모양꽃차례로 6-7월에 피며 길고 크며 다수의 녹색 잔꽃이 돌려나기한다. 화피열편과 수술은 각 6개이고 암술대는 3개이며 암술머리가 털처럼 잘게 갈라진다.
열매설명
수과는 3릉형(三稜形)이며 3개의 숙존악에 싸여 있고 날개는 달걀모양 또는 심장형이며 거의 톱니가 없고 길이 5mm 가량이며 단단하다. 사마귀같은 혹은 길이 1.5-2mm이다.
생육환경설명
▶습지 가까이에서 자란다.
▶저습지에 적합하며 공한지에 물기가 다소 많은 곳이며 강인한 식물이므로 대개는 재배할 수 있다.
잎설명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에 가깝고 길이 13-30cm, 폭 4-6cm로서 가장자리가 물결모양이다. 줄기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짧고 긴 원상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좁으며 주름살이 있다.
원산지
유럽 원산.
뿌리설명
뿌리가 비대해진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유사식물설명
▶참소리쟁이(R. japonicus Houttuyn)
▶수영(R. acetosa): 땅속줄기는 약간 크고, 줄기에 능선이 있다. 잎은 긴 창모양, 잎자루는 위쪽으로 갈수록 짧아진다.
▶토대황(R. aquaticus): 잎은 긴 타원상 달걀모양, 긴 삼각형,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호대황(R. gmelini): 잎 뒷면 맥에 흰색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어 거칠며, 잎자루는 길다.
특징
소리쟁이는 `동의보감`에 패독채라고 올라있는데 민간약으로 긴히 쓰이는 약초이기도 하다.
줄기설명
높이 30-80cm이고 줄기는 곧게 자라며 녹색 바탕에 흔히 자줏빛이 돈다.
크기설명
높이 30-80cm.
사용법
▶어린 잎을 식용으로 한다.
▶열매(씨)는 메밀깍지처럼 잘 말렸다가 배갯 속으로 넣으면 머리를 차게 해주므로 좋다.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매염제에의 반응이 뛰어나서 다양한 색을 얻을 수 있고 소량으로도 짙은 색이 나온다. 전초를 이용할 수 있으나 잎보다는 뿌리의 색이 짙다.
▶根(근)은 牛耳大黃(우이대황), 葉(엽)은 牛耳大黃葉(우이대황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牛耳大黃(우이대황)
①4-5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뿌리에는 emodin, chrysophanol, chrysophanein, 1,8-dihydroxy-3-methyl-9-anthrone이 함유되어 있다. 과실에는 50%의 탄닌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凉血(양혈), 化痰(화담), 止咳(지해), 通便(통변), 살충의 효능이 있다. 급성간염, 만성기관지염, 토혈, 血崩(혈붕), 血小板減少性紫斑症(혈소판감소성자반증), 大便燥結(대변조결), 이질, 經閉腹腸(경폐복장), 疥癬(개선), 禿瘡(독창), 정창, 無名腫毒(무명종독), 癤(절)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5-30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갈아서 즙을 바른다. 또는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⑵牛耳大黃葉(우이대황엽)
①성분 : 잎에는 비타민 A, tannin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淸熱(청열), 해독하고 利大便(이대변)의 효능이 있다.
③용법/용량 : 달여 복용하거나 부식으로 먹는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소엽 (0) | 2023.02.06 |
---|---|
[식물도감] 소사나무 (0) | 2023.02.06 |
[식물도감] 소래풀 (0) | 2023.02.06 |
[식물도감] 소란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