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세잎양지꽃
영문명: Freyn’s cinquefoil
과국명: 장미과
과명: Rosaceae
속국명: 양지꽃속
속명: Potentilla
비추천명: 우단양지꽃,털세잎양지꽃,털양지꽃
정명학명: Potentilla freyniana Bornm.
이명학명: Potentilla sutchuenica Cardot
<상세정보>
분포정보
중국, 일본, 러시아 / 우리 나라 각지의 산야에 자생한다.
꽃설명
3-4월에 길이 15-30cm의 꽃대가 나와서 꽃이 피며 취산꽃차례를 형성하고 꽃은 지름 10-15mm 로서 황색이다. 꽃받침조각은 넓은 피침형이며 예첨두이고 표면 밑부분에 털이 있으며 부악편은 선형이다. 꽃잎은 도란상 원형이고 요두이며 꽃받침보다 1.5배 정도 길고 암술과 수술이 많으며 꽃턱에 털이 약간 있다.
열매설명
열매는 수과로 털이 없고 길이 1mm정도로서 주름살이 있으며 연한갈색이다. 4~5월에 결실
생육환경설명
산기슭의 풀밭이나 밭둑에서 흔히 자란다.
잎설명
잎은 3출복엽이며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줄기잎은 엽병이 짧으며 전체에 털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 달걀모양, 또는 거꿀달걀모양이고 원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2~5cm, 폭1-3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나 뒷면은 맥 위에 털이 있고 자주빛이 돌며 탁엽은 달걀모양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원산지
한국
뿌리설명
굵고 짧은 뿌리에서 근생엽과 가지가 돋는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유사식물설명
▶양지꽃 (P. fragarioides var. major Mawim.) : 엽병이 길고 3-13개의 소엽으 로 이루어져있다.
특징
양지꽃과 비슷하나, 작은 잎이 3장으로 된 겹잎인 점이 다름
크기설명
꽃대의 높이 15-30cm
사용법
▶어린 잎을 나물로 한다.
▶全草(전초)는 三葉萎陵菜(삼엽위릉채), 根(근)은 三葉萎陵菜根(삼엽위릉채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三葉萎陵菜(삼엽위릉채)
①여름에 개화한 전초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消腫(소종), 鎭痙(진경), 淸熱(청열), 해독, 散瘀(산어), 止血(지혈)의 효능이 있다. 骨結核(골결핵), 口腔炎(구강염), 나력, 타박상, 外傷出血(외상출혈), 癰腫(옹종), 정창, 痔瘡(치창), 小兒痙攣(소아경련)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煎液(전액)으로 환부를 씻어낸다. 또 粉末(분말)을 만들어서 살포한다.
⑵三葉萎陵菜根(삼엽위릉채근)
①4-10월에 채취한다.
②약효 : 利濕(이습), 止痛(지통), 淸熱(청열), 해독, 補虛(보허)의 효능이 있다. 骨髓炎(골수염), 外傷出血(외상출혈), 毒蛇咬傷(독사교상)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粉末(분말)을 만들어 살포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세잎쥐손이 (0) | 2023.02.05 |
---|---|
[식물도감] 세잎종덩굴 (0) | 2023.02.05 |
[식물도감] 세잎승마 (0) | 2023.02.05 |
[식물도감] 세잎솜대 (0) | 2023.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