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섬향나무

MinorMan 2023. 2. 5. 09:58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섬향나무

영문명: Procumbens Chinese juniper

과국명: 측백나무과

과명: Cupressaceae

속국명: 향나무속

속명: Juniperus

정명학명: Juniperus chinensis L. var. procumbens Siebold ex Endl.

이명학명: Sabina chinensis (L.) Antoine var. procumbens (Siebold ex Endl.) Antoine


<상세정보>

번식방법

번식은 실생 및 무성생식법에 의한다.
1.실생 : 성숙한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 매장한 후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2.무성생식법 : 번식은 주로 삽목에 의존하며 종자와 휘묻이로도 번식한다.
※접목은 향나무의 실생묘 또는 연필향나무 대목에 접목한다.


분포정보

한국(전남), 일본, 대만


노트

섬향나무(J. chinensis var. procumbens)는 Siebold (1847)에 의해 향나무의 변종으로 기재되었다. 기재 당시 분류군의 특징으로는 단지 줄기가 옆으로 뻗는 특징만을 기재하였으며, 이러한 특징만으로 볼 때 눈향나무(J. chinensis var. sargentii)와의 분류학적 특징을 뚜렷하게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Farjon (2005)은 향나무(J. chinensis)와 비교하여 잎이 바늘잎과 비늘잎 두 가지 형태를 갖지 않고, 바늘잎만 갖는 특징으로 섬향나무를 종으로 구분한 바 있다. 그러나 섬향나무도 일부 개체에서 비늘잎이 발생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종 수준보다는 향나무의 변종으로 처리하였다. 한편 섬향나무는 눈향나무처럼 포복으로 자라지만, 가지가 하늘을 향하는 다른 특징이 있다.


원산지

한국


형태

포복성 상록관목이며, 높이는 1~2m정도이다. 수피는 1년지는 녹색, 2년지는 적갈색이다. 잎은 바늘형과 비늘형 잎이 있지만 대부분 바늘형이다. 바늘잎은 예첨두이고, 안쪽으로 구부러진다. 배축면은 짙은 녹색이며, 향축면은 2줄의 기공선이 있고, 잎차례는 4열 혹은 6열이다. 길이 3.4~8.1mm, 너비 0.9~1.8mm이다. 비늘잎은 길이 1.4~2.5mm, 너비 1~1.7mm이다. 구화수는 4월에 달리고 암수딴그루이다. 웅성구화수는 타원형이며, 길이 3.0~4.0mm이고, 자성구화수는 난상구형이다. 구과는 편구형이며, 길이 6.0~8.6mm, 너비 5.0~9.5mm이고, 유합된 4개의 실편에 작은 돌기가 있다. 종자는 난형이며, 구과당 1~4개이고, 길이 4.1~4.9mm, 너비 3.0~4.1mm이다. 결실기는 다음해 10월이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섬현호색  (0) 2023.02.05
[식물도감] 섬현삼  (0) 2023.02.05
[식물도감] 섬피나무  (0) 2023.02.05
[식물도감] 섬포아풀  (0) 2023.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