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섬잣나무
영문명: Ulleungdo white pine
과국명: 소나무과
과명: Pinaceae
속국명: 소나무속
속명: Pinus
정명학명: Pinus parviflora Siebold & Zucc.
이명학명: Strobus parviflora (Siebold & Zucc.) Moldenke
<상세정보>
번식방법
조림용 묘목은 종자로 양묘하고 관상용 묘목은 접목묘를 사용하는데, 접목은 곰솔을 대목을 하여 3월에 절접한다. 일반적으로는 실생번식이 좋다.
▶잣나무와 같은 방법으로 종자를 노천매장(露天埋藏)을 하였다가 봄에 파종하면 발아가 잘 된다.
분포정보
한국(울릉도), 일본(혼슈 중부와 남부), 대만
노트
섬잣나무(P. parviflora)는 구과가 익으면 실편이 벌어지고, 실편 끝은 뒤로 젖혀지지 않으며, 종자에 좁은 날개가 있는 특징으로 소나무속의 다른 근연 분류군들과 뚜렷이 구분된다.
원산지
한국 : 울릉도
형태
상록교목이며, 높이 30m, 지름 1m 정도로 자란다. 수피는 갈색이고, 불규칙한 인편상으로 벗겨진다. 잎은 바늘형이며, 짙은 녹색, 5개씩 모여 나고, 길이 36.6~74.9mm, 너비 0.6~1.1mm이다. 향축면 양쪽에 기공선이 4~5줄 분포하며, 잎 가장자리에 잔톱니 모양이 드물게 발달한다. 구화수는 4~5월에 달리고, 암수한그루, 웅성구화수는 장타원형이며, 길이 5.5~8.9mm이고, 새가지 기부에 20개까지 달린다. 자성구화수는 타원형이며, 길이 10~12mm이고, 새가지 끝에 1~6개씩 달린다. 구과는 원주형이며, 길이 45.5~87.1(100)mm, 너비 24.4~47.9mm이다. 실편은 26~47개이고, 익으면 황갈색으로 되며, 실편의 길이 14.2~25.8mm, 너비 13.7~27.3mm이고, 성숙 시 벌어진다. 종자는 난상 원형이고, 구과당 37~42개가 들어있으며, 뒷면은 흑갈색이고, 얇은 막으로 덮이며, 표면은 다갈색이고, 길이 9.7~13.9mm, 너비 6.0~8.4mm이며, 좁은 종자날개가 있다. 결실기는 다음해 9~10월이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섬제비꽃 (0) | 2023.02.04 |
---|---|
[식물도감] 섬장대 (0) | 2023.02.04 |
[식물도감] 섬잔대 (0) | 2023.02.04 |
[식물도감] 섬잔고사리 (0) | 2023.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