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선밀나물
영문명: White back greenbrier
과국명: 백합과
과명: Liliaceae
속국명: 청미래덩굴속
속명: Smilax
비추천명: 새밀
정명학명: Smilax nipponica Miq.
이명학명: Smilax herbacea L. var. oblonga C.H.Wright
<상세정보>
분포정보
전국 산야에 분포한다.
꽃설명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고 황록색이며 우산모양꽃차례는 길이 4~10cm의 화경이 있고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다. 수꽃의 화피는 옆으로 퍼지며 잎겨드랑이에 여러개가 산형으로 달리고 길이 4mm 정도로서 넓은 거꿀피침모양이다. 수술은 화피 길이의 1/2-2/3이며 꽃밥은 길이 0.7mm 정도이다. 암꽃의 화피는 배모양이고 씨방에 붙어있으며 씨방은 둥글다.
열매설명
열매는 장과로서 흑색으로 익고 백분으로 덮여있으며 둥글다. 지름 6~10mm이다.
생육환경설명
산야에서 흔하게 자란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고 길이 5~15cm, 폭 2.7~7cm로서 넓은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원저, 절저 또는 심장저이다. 잎맥은 5~7개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다소 분백색으로서 털은 없으나 소돌기가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엽병은 길이 1~4cm로서 탁엽이 변한 1쌍의 덩굴손이 달려 있다.
뿌리설명
근경은 옆으로 뻗는다.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유사식물설명
▶청미래덩굴( Smilax china L.): 덩굴성 목본, 잎은 넓은 구형으로 광택이 지고, 열매는 적색으로 익는다.
▶청가시덩굴(S. sieboldii Miq.): 덩굴 목본으로 잎은 난형으로 열매는 흑색으로 익는다.
▶밀나물(Smilax riparia var. ussuriensis (Regel) Hara & T.Koyama):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덩굴성이다.
▶잎이 좁은 것을 좁은잎밀나물 (for.stenophylla T.Koyama) 라고 한다.
줄기설명
높이가 1m에 달하며 곧게서고 덩굴손에 의해 물체에 감긴다.
크기설명
높이 1m에 이른다.
사용법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根莖(근경) 및 根(근)을 牛尾菜(우미채)라 하며 약용한다.
①6-8월에 채취하여 깨끗하게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우미채는 舒筋(서근), 活血(활혈), 經絡流通(경략유통),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足腰(족요)의 筋骨疼痛(근골동통)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6-12g을 달여 마시거나 또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 肉(육)과 같이 약한 불에 고아서 먹는다. <외용>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선백미꽃 (0) | 2023.02.02 |
---|---|
[식물도감] 선바위고사리 (0) | 2023.02.02 |
[식물도감] 선물수세미 (0) | 2023.02.02 |
[식물도감] 선모시대 (0) | 2023.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