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비파나무

MinorMan 2023. 1. 27. 13:16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비파나무

과국명: 장미과

과명: Rosaceae

속국명: 비파나무속

속명: Eriobotrya

정명학명: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이명학명: Photinia japonica (Thunb.) Benth. & Hook.f. ex Asch. & Schweinf.


<상세정보>

번식방법

▶종자는 휴면성이 없으므로 직파하면 바로 발아한다. 형질이 우수한 나무를 얻기 위하여 접목하기도 한다.


분포정보

▶한국, 일본, 중국에서 재배한다.

▶제주도 및 남해안 지방에서 자란다.


꽃설명

꽃은 백색으로 10~11월에 피며 지름 1cm이고 원뿔모양꽃차례는 가지끝에 정생하며 연한 갈색털로 덮이고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 5개이다. 향기가 있다.


열매설명

열매는 구형 또는 타원형이며 지름 3-4cm로서 가지끝마다 몇 개씩 모여 달리며 이듬해 6월에 황색으로 익으며 먹을 수 있고, 종자는 1-5개이며 흑갈색이고 심으면 바로 발아한다.


생육환경설명

▶정원 또는 과수원에서 재배한다.

▶대구 지역에서도 큰 나무는 월동이 된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고 타원상 긴 달걀모양이며 첨두 예저이고 길이 15-25cm, 폭 3-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고 뒷면은 연갈색 밀모로 덮여 있으며 가장자리에 치아모양톱니가 드문드문 있고 엽병은 길이 0-10mm이다.


원산지

일본과 중국 원산


형태

상록 활엽 소교목이다.


특징

잎을 비파엽(枇杷葉), 종자를 비파인(枇杷仁)이라 하며, 물을 가하여 파괴시키면 벤즈알데히드의 향기를 낸다.


줄기설명

높이가 10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는 굵으며 연한 갈색 밀모로 덮여 있다.


크기설명

높이 10m


사용법

▶남부지방에서 과수로 재식한다. 배모양의 황색열매는 먹을 수 있다.

▶조경가치 및 용도 : 광택이 나는 잎은 관상미가 있으며 질감을 내는데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가뭄에도 잘 견디며 독립수, 경계식재, 차폐용 등에 적합하며 가로변이나 정원에 많이 식재한다.

▶과실, 根(근), 樹幹皮(수간피), 葉(엽), 花(화), 종자, 葉(엽)의 蒸溜液(증류액)을 약용한다.

⑴枇杷(비파) - ①비파의 과실이다. ②성분 : 과실에는 수분 90.26%, 총질소 2.15%, 탄수화물 67.30%가 함유되어 있고 그 중에서 환원당이 71.31%를 차지하고 pentosan 3.74%, 組纖維(조섬유) 2.65%이다. 果肉(과육)에는 지방, 糖(당), 단백질, cellulose, pectin, tannin, 灰分(회분-natrium, kalium, 철, 칼슘, 인), 비타민B1, C가 함유되어 있다. 또 cryptoxanthin β-carotene 등의 색소를 함유하고 果液(과액)에는 포도당, 과당, 蔗糖(자당), 사과당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潤肺(윤폐), 止渴(지갈), 下氣(하기)의 효능이 있다. 폐병에 의한 咳嗽(해수), 鼻血(비혈), 燥渴(조갈), 구토를 치료한다.

⑵枇杷根(비파근) - 허로로 인한 長期(장기)의 咳嗽(해수), 關節疼痛(관절동통), 吐血(토혈), 乳汁不足(유즙부족) 등을 치료한다.

⑶枇杷木白皮(비파목백피) - 비파의 樹幹皮(수간피)로, 그치지 않는 하품을 그치게 하고 下氣(하기)하며 吐逆(토역), 食滯(식체)를 치료한다. 生樹皮(생수피)를 벗겨서 생즙을 내어 조금씩 복용한다. 달인 즙을 식혀서 복용한다.

⑷枇杷葉(비파엽) - 淸肺(청폐), 和胃(화위), 降氣(강기), 化痰(화담)의 효능이 있다. 肺熱痰咳(폐열담해), 咳血鼻出血(해혈비출혈), 胃熱(위열)에 의한 嘔吐(구토)를 치료한다.

⑸枇杷花(비파화) - 傷風感冒(상풍감모), 咳(해), 血痰(혈담)을 치료한다.

⑹枇杷核(비파핵) - 비파의 종자로 化痰(화담), 止咳(지해), 疏肝(소간), 理氣(이기)의 효능이 있다. 咳嗽(해수), 水腫(수종), 나력을 치료한다.

⑺枇杷葉露(비파엽로) - 비파葉(엽)의 蒸溜液(증류액)으로, 淸肺(청폐), 和胃(화위), 化痰(화담), 止咳(지해)하는 효능이 있다. 肺熱(폐열)로 인한 咳嗽(해수), 多痰(다담), 심한 구토, 口渴(구갈)을 치료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빈추나무  (0) 2023.01.27
[식물도감] 빈도리  (0) 2023.01.27
[식물도감] 비쭈기나무  (0) 2023.01.27
[식물도감] 비짜루국화  (0) 2023.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