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분꽃
영문명: Four-o'clock
과국명: 분꽃과
과명: Nyctaginaceae
속국명: 분꽃속
속명: Mirabilis
정명학명: Mirabilis jalapa L.
이명학명: Nyctago jalapae (L.) DC.
<상세정보>
번식방법
번식은 종내육종법, 실생법 등으로 이루어진다.
분포정보
전국 각지에서 재배하며 중국에서도 재배한다.
재배특성
이 풀은 원산지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한해살이풀이다.
꽃설명
꽃은 6~10월에 피고 홍색, 백색, 황색 또는 여러 가지 색이 뒤섞여 피며 저녁때부터 아침에 걸쳐서 피고 향기가 있다. 취산꽃차례는 가지 끝에 달리며 꽃받침 같은 포는 녹색이고 5개로 갈라지며 꽃잎같은 꽃받침은 나팔꽃을 축소시킨 것같고 끝이 얕게 5개로 갈라진다. 5개의 수술은 밖으로 노출되며 수술대 밑이 반상(盤狀)이고 암술대가 길게 밖으로 나온다.
열매설명
열매는 둥글고 딱딱한 꽃받침의 밑부분으로 싸여 있으며 녹색에서 흑색으로 되고 겉에 주름이 진다. 종자는 둥글며 얇은 백색 종의(種衣)로 싸여 있고 배젖도 밀가루 같은 백색이다.
잎설명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있으며 달걀모양 또는 넓은 달걀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이 원저 또는 다소 심장저이며 길이 3-10cm로서 털이 없으나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는 것도 있다.
원산지
남아메리카 원산이다.
뿌리설명
뿌리가 굵으며 겉은 흑색이다.
형태
원산지에서는 여러해살이풀, 우리 나라에서는 한해살이풀.
특징
▶뿌리를 자말리근(紫茉莉根), 분단화(粉團花), 분머리모양꽃차례(粉豆花), 수분자화(水粉子花), 화분두(花粉頭), 수분두(水粉頭), 인지화두라 한다.
▶분꽃이라는 이름은 분가루 같은 배젖에서 온 이름이다.
줄기설명
높이 60-100cm이고 원줄기는 마디가 굵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크기설명
높이 60~100cm이다.
사용법
▶관상 원예용으로 재배한다. 꽃이 피는 기간이 대단히 길기 때문에 화단이나 길가, 가로 공원 등지에 심으면 적합하다.
▶공업용으로 쓸 경우에는 화장품유와 백분을 제조하는데 이용하고 연지를 만드는 재료로 쓰기도 한다.
▶根(근)은 紫茉莉根(자말리근), 葉(엽)은 紫茉莉葉(자말리엽), 종자내의 배젖은 紫茉莉子(자말리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紫茉莉根(자말리근)
①가을, 겨울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根(근)에는 아미노산, 유기산 및 대량의 전분이 함유되어 있고 꽃에는 다종의 betaxanthine 類(류) 등의 황색소가 들어 있다.
③약효 : 이뇨, 瀉熱(사열), 活血(활혈), 散瘀(산어)의 효능이 있다. 淋濁(임탁-尿混濁(뇨혼탁)), 帶下(대하), 肺勞吐血(폐로토혈-폐결핵의 객혈), 背中癰疽(배중옹저), 급성관절염, 婦女(부녀)의 血崩(혈붕), 白帶(백대), 五淋(오림)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신선한 것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⑵紫茉莉葉(자말리엽)
①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癰癤(옹절), 疥癬(개선), 創傷(창상)을 치료한다. 허약증에 莖葉(경엽)을 삶아서 먹는다. 잎의 생즙은 創傷(창상)의 치료에 쓰이고 煎汁(전즙)은 瘡毒(창독)을 치료한다. 創傷(창상), 癰瘡(옹창)에 짓찧어서 붙인다.
⑶紫茉莉子(자말리자)
①성분 : 대량의 전분이 들어 있고 粗脂肪(조지방) 4.3%, 지방산(포화지방산) 24.4%, oleine 酸(산) 46.9%, linolein 酸(산) 15.1%, linol 酸 (산)13.6%가 함유되어 있고 그 외에 quercetin 및 kampferol glu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분말로 만들어 얼굴의 기미 및 주근깨, 여드름을 치료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분단나무 (0) | 2023.01.24 |
---|---|
[식물도감] 분꽃나무 (0) | 2023.01.24 |
[식물도감] 분개구리밥 (0) | 2023.01.24 |
[식물도감] 북파대가리 (0) | 2023.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