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보리장나무

MinorMan 2023. 1. 21. 01:02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보리장나무

영문명: Autumn-flower oleaster

과국명: 보리수나무과

과명: Elaeagnaceae

속국명: 보리수나무속

속명: Elaeagnus

비추천명: 덩굴보리수나무,덩굴볼레나무,볼네나무

정명학명: Elaeagnus glabra Thunb.

이명학명: Elaeagnus oiwakensis Hayata


<상세정보>

번식방법

봄에 종자를 채취하여 곧바로 파종한다. 봄철에서 여름철에 걸쳐 미숙지를 채취하여 녹지삽목을 한다.

▶과육을 제거한 후 직파하거나 3-4월, 6-7월, 9월에 가지삽목이나 분주를 하여도 증식이 잘 된다.


분포정보

일본; 전라남도 및 제주도.


꽃설명

꽃은 10 ~ 12월에 피고 백색으로 2 ~ 3개씩 달려서 밑으로 처지며, 꽃대 길이는 4 ~ 7mm로 적갈색 인모가 밀생하고, 꽃받침통은 가늘며 밑부분이 점차 씨방과 연결되고 길이 5mm이며 열편은 길이 3mm이고 암술대는 털이 없다.


열매설명

열매는 핵과로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붉은색으로 길이 10 ~ 18mm로 적갈색 인모로 덮여 있고 6월 초, 11월 중순에 성숙한다.


생육환경설명

햇빛이 잘드는 비탈진 경사지에서 잘 자라고 보습성이 양호한 사질양토에서 생육이 왕성하다. 지하부에는 뿌리혹 박테리아가 존재하여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적응한다. 내한성이 약해 중부지방에서 재배하기 어렵고 내염성과 내조성이 강해서 해안지방에서 주로 잘 자란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타원모양, 점첨두 또는 첨두이고 예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4 ~ 8cm × 2.5 ~ 3.5cm로, 표면에 갈색 인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뒷면에 갈색 인모가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 길이는 5 ~ 7mm로 갈색 인모 발달한다.


원산지

한국


보호방안

자생지에서의 개체 보호는 물론 자생지외 보존을 실시한다.


형태

상록 활엽 덩굴성.


유사식물설명

▶좁은잎보리장나무(var.oxyphylla Nakai): 잎이 좁은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제주도에서 자란다.

▶녹보리똥나무(E. maritima Koidz): 보리장나무에 비해 잎이 크고 타원형 또는 긴타원모양이며 표면에도 갈색 인모가 있다. 흑산도 및 완도에 자란다.


특징

녹보리똥나무와 비슷하지만 잎이 좁다. 상록성의 잎은 은백색으로 반들반들한 질감이 있어 청량감을 주며, 봄에 황색에서 붉은색으로 익는 열매는 나무 가득히 주렁주렁 달리고 맛이 달다.


줄기설명

덩굴성으로 일년생가지에 갈색 인모가 있다. 줄기가 길게 뻗지만 다른 물체를 감지 않는다.


크기설명

길이 3m.


사용법

▶상록성의 잎과 열매가 아름다워 조경용 덩굴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해안지역의 녹화식물로도 좋으며, 남부지방의 척박한 사면녹화용 관목으로도 식재할 만하다.

▶열매는 식용하거나 과실주를 담그며 잼이나 파이 등도 만든다.

▶과실은 蔓胡頹子(만호퇴자), 뿌리와 根皮(근피)는 蔓胡頹子根(만호퇴자근), 枝葉(지엽)은 蔓胡頹子葉(만호퇴자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蔓胡頹子(만호퇴자) - 收斂(수렴), 止瀉(지사)의 효능이 있다. 腸炎(장염)에 의한 下痢(하리)를 치료한다. 9-18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⑵蔓胡頹子根(만호퇴자근)

①연중 수시로 채취한다.

②약효 : 淸熱(청열), 利濕(이습), 消腫(소종), 止痛(지통), 止血(지혈)의 효능이 있다. 이질, 水樣性下痢(수양성하리), 風濕痺痛(풍습비통), 간염, 胃病吐血(위병토혈), 痔血(치혈), 血崩(혈붕), 타박에 의한 腫痛(종통)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9-24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⑶蔓胡頹子葉(만호퇴자엽)

①연중 수시로 채취한다.

②성분 : 잎에는 alkaloid, flavonoid 배당체, coumarin, triterpen, 糖(당), phenol類(류) 물질, 아미노산,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退熱(퇴열), 平喘(평천), 止咳(지해)의 효능이 있다. 氣管支喘息(기관지천식), 만성기관지염, 感冒(감모)에 의한 咳嗽(해수) 등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신선한 것은 9-12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 1.5-3g을 粉末(분말)로 하여 沖服(충복)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보춘화  (0) 2023.01.21
[식물도감] 보리풀  (0) 2023.01.21
[식물도감] 보리자나무  (0) 2023.01.21
[식물도감] 보리수나무  (0) 2023.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