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벼

MinorMan 2023. 1. 20. 07:37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벼

과국명: 벼과

과명: Poaceae

속국명: 벼속

속명: Oryza

정명학명: Oryza sativa L.

이명학명: Oryza formosana Masam. & S.Suzuki


<상세정보>

번식방법

▶종자로 번식한다.


분포정보

한국


꽃 화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꽃 소수(특징)

소수는 길이 2~5mm의 자루가 있다.


꽃 소수 포영

포영은 흔적만 남아 있고


꽃 소수 소화(특징)

제1, 제2소화는 모두 퇴화되어 축소된 호영만이 남아 제3소화의 기부에 양쪽으로 붙어 있다. 제3소화는 양성화로 길이 6mm내외, 호영과 내영의 중앙맥을 경계로 강하게 접혀져서 납작하다.


꽃 소수 소화 호영

호영은 5맥으로 표면에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는 긴 털이 있다. 호영의 끝에 까락이 없는 것이 대부분이며 때로는 까락이 발달되기도 한다.


꽃 소수 소화 내용

내영은 3맥으로 표면에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는 긴 털이 있다.


열매설명

영과


생육환경설명

주식으로 논에 재배하고 있다.


잎 엽신

잎은 길이 20~30cm, 너비 5~8mm로 표면과 가장자리가 거칠다.


잎 엽신 길이

20~30cm


잎 엽신 너비

5~8mm


잎 옆설(특징)

엽설은 길이 10mm로 2개로 갈라진다.


잎 엽설 길이

10mm


원산지

열대아시아 원산이다.


해외분포

인도, 말레이시아


생육상 구분

1년생


유사식물설명

▶찰벼 (var.glutinosa Matsum.) : 쌀에 끈기가 있고 포영이 작으며 흑자색이고 전체가 갈자색이다.

▶산두 (var.terrestris Mak.) : 밭에서 자란다.


특징

비슷한 식물인 좀겨풀(Leersia oryzoides)은 임성소화 한 개만 있고 불임성호영이 없는데 반하여 이 식물은 소수 안에 1개의 임성소화와 2개의 불임성 호영이 남아 있는 점으로 구분된다.


줄기설명

줄기는 직립하며 높이 60~120cm, 총생한다.


줄기 높이

60~120cm


크기설명

높이 50~100cm.


사용법

▶주식작물로 재배하고 있다.

▶각종 의약품의 부형제(賦形劑), 강유제조(糠油製造)로 쓰인다.

▶벼의 각부분을 약용한다.

⑴粳米(경미) - 벼의 種仁(종인)으로, 약 75%이상의 전분, 8% 전후의 단백질, 0.5-1%의 지방이 함유되어 있다. 補中益氣(보중익기), 健脾和胃(건비화위), 除煩渴(제번갈), 止瀉痢(지사리)의 효능이 있다. 粳米粥(경미죽)은 소변을 利(이)하고 煩渴(번갈)을 止(지)하고 腸胃(장위)를 養(양)한다. 炒米湯(초미탕)은 胃(위)를 補益(보익)하고 除濕(제습)한다.

⑵粳米 (경미감) - 粳稻 種仁(경도종인-粳米(경미))의 두 번째 搗汁(도즙-쌀뜨물)으로 淸熱凉血(청열양혈), 利小便(이소변)의 효능이 있다. 熱病煩渴(열병번갈), 토혈, 鼻出血(비출혈), 風熱目赤(풍열목적)을 치료한다.

⑶稻草(도초) - 벼의 莖葉(경엽)으로, 寬中下氣(관중하기)하고 消食積(소식적)의 효능이 있다. 反胃(반위), 食滯(식체), 水樣性 下痢(수양성 하리), 복통, 소갈, 황달, 白濁(백탁), 痔瘡(치창), 熱傷(열상)을 치료한다. 牛馬肉積宿食(우마육적숙식), 小兒肉食結滯(소아육식결체), 두복동통을 치료한다.

⑷稻穀芒(도곡망) - 벼(稻)의 과실상의 까락으로서, 황달로 신체가 황색이 된 것을 치료한다.

⑸穀芽(곡아) - 벼(稻)의 성숙된 과실을 가공하여 발아시킨 것이다. 전분, 단백질, 지방, diastase, 비타민 B2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補脾(보비), 和中(화중), 消食(소식)의 효능이 있다. 소화불량, 腸滿(장만), 下痢(하리), 식욕부진을 치료한다.

⑹米皮糠(미피강) - 벼의 씨껍질로서, 食道狹窄(식도협착), 각기를 치료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벼룩아재비  (0) 2023.01.20
[식물도감] 벼룩나물  (0) 2023.01.20
[식물도감] 벳지  (0) 2023.01.20
[식물도감] 벚잎꽃사과나무  (0) 2023.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