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백정화
과국명: 꼭두서니과
과명: Rubiaceae
속국명: 백정화속
속명: Serissa
비추천명: 두메별꽃,백마골,백정꽃
정명학명: Serissa japonica (Thunb.) Thunb.
이명학명: Lycium indicum Retz.
<상세정보>
번식방법
▶이른 봄철에 삽목으로 증식하며, 발근율은 높은 편이다.
분포정보
남부 지방에 식재.
꽃설명
꽃은 5 ~ 6월에 피고 백색 또는 연한 홍자색으로 잎겨드랑이 달리며, 꽃부리는 깔때기 모양이고 끝이 5갈래로 갈라지고 안쪽에 백색 털이 있고 열편은 다시 3개로 얕게 갈라진다. 수술은 5개이며 꽃부리 판통에 붙어 있고 암술보다 긴 것과 짧은 것 두 종류가 있다. 원예품종에는 겹꽃과 많첩인 것 또는 잎에 반문(斑紋)이 있는 것 등이 있다.
잎설명
잎은 마주나기하며 좁은 타원형이고 끝이 뾰죡하며 길이 2cm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붙으며, 턱잎이 자모(刺毛)같이 된다.
원산지
대만, 인도, 중국 남부 원산.
형태
상록 활엽 관목.
특징
白丁花란 꽃모양을 따라 붙여진 이름이며 만천성(滿天星)이라고도 한다.
줄기설명
높이가 1m에 달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퍼진다.
크기설명
높이 1m.
사용법
▶관상용, 산울타리용으로 쓰인다.
▶全草(전초)는 白馬骨(백마골), 뿌리는 白馬骨根(백마골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白馬骨(백마골)
①백정화에는 glycoside와 tannin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祛風(거풍),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風濕(풍습), 腰腿疼痛(요퇴동통), 이질, 水腫(수종), 目赤腫痛(목적종통), 喉痛(후통), 齒痛(치통), 婦人의 白帶(백대), 癰疽(옹저), (나력)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9-15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燒灰(소회)를 걸러낸 유액을 바르거나 달인 液(액)으로 씻는다. 또는 짓찧어서 붙인다.
⑵白馬骨根(백마골근)
①여름과 가을에 뿌리를 캐서 깨끗이 씻어 그대로 쓰거나 또는 햇볕에 말려서 쓴다.
②약효 : 祛風(거풍), 淸熱(청열), 利濕(이습)의 효능이 있다. 두통, 편두통, 齒痛(치통), 喉痛(후통), 目赤腫痛(목적종통), 濕熱黃疸(습열황달), 帶下(대하), 小便白濁(소변백탁)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신선한 것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백합나무 (0) | 2023.01.18 |
---|---|
[식물도감] 백합 (0) | 2023.01.18 |
[식물도감] 백작약 (0) | 2023.01.18 |
[식물도감] 백일홍 (1) | 202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