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바람꽃

MinorMan 2023. 1. 16. 00:41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바람꽃

영문명: Narcissus anemone

과국명: 미나리아재비과

과명: Ranunculaceae

속국명: 바람꽃속

속명: Anemone

비추천명: 조선바람꽃

정명학명: Anemone crinita Juz.

이명학명: Anemonastrum narcissiflorum (L.) Holub subsp. crinitum (Juz.) Raus


<상세정보>

번식방법

종자를 채취하여 모식물 주변에 점파한다. 종자는 미립종자이므로 파종 및 관리에 주의를 요한다.


분포정보

일본, 중국, 러시아, 미국, 유럽 / 한국(강원도 속초시, 양양군, 인제군)


재배특성

고산성 식물로 통풍이 잘되고 반그늘진 곳에서 재배한다. 여름철 고온다습에 약하다.


꽃설명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화경은 1-4개이고 꽃자루는 5-6개가 산형으로 나와 꽃이 1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7개이며 길이 12-15mm로서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총포조각은 길이 2-4cm로서 선형으로 갈라진다.


열매설명

수과는 편평하며 다소 두꺼운 날개가 있고 털이 없으며 날개와 더불어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6-7mm, 폭 5mm정도로서 다소 안으로 굽은 짧은 암술대가 있다.


생육환경설명

▶고산지대의 습기가 있는 풀밭에서 자란다.

▶햇볕이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사질토양에서 자란다.


잎설명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둥근 심장형으로 3번 완전히 갈라지고 측열편은 다시 2-3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길이 2-5cm로서 2-3개로 갈라진 다음 선형으로 세열(細裂)된다.


원산지

한국,중국,일본,만주,시베리아,유럽,북미


보호방안

강원도 점봉산 이북으로 5곳 정도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수도 많지 않다. 자생지가 남방한계지역으로 유전자원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기후변화에 따른 자생지 환경악화가 우려된다.


뿌리설명

근경은 굵고 마른 엽병의 섬유로 덮여 있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유사식물설명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Anemone속 식물은 꿩의바람꽃(A. raddeana)을 비롯하여 10여종이 자생하고 모두 봄에 개화(가래바람꽃은 여름에 개화한다.)한다. 지하부에는 작은 덩이줄기가 지니고 있는데 특히 바람꽃은 크고 땅속 깊이 들어가며 개화기가 여름으로 차이가 난다.


특징

뿌리가 대단히 굵고 튼튼하다. 일반적으로 재배가 난해한 식물이다. 속명 Anemone 는 아네모네의 희랍명으로 `바람의 딸`이라는 뜻이고, 종명 narcissiflora는 수선속의 꽃과 같다는 뜻이다.

북방계 식물로서 남한에서는 설악산에서만 자라는 식물이고 분포학상 중요하다.

▶문헌자료

-.이유미ㆍ이원열. 1997.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 도서출판생명의나무. 서울.


줄기설명

높이 20-40cm정도이고 근생엽과 꽃대가 모여나기하며 전체에 긴 털이 있다.


크기설명

높이가 20-40cm이다.


사용법

다른 Anemone속 식물과 달리 여름철(8월초)에 개화하므로 통풍이 잘되는 낙엽수림 밑에 식재하면 한 여름내 아름다운 꽃을 감상할 수 있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바람하늘지기  (0) 2023.01.16
[식물도감] 반죽  (0) 2023.01.16
[식물도감] 반디지치  (0) 2023.01.16
[식물도감] 바람고사리  (0) 2023.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