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바보여뀌
영문명: Nonspicy smartweed
과국명: 마디풀과
과명: Polygonaceae
속국명: 여뀌속
속명: Persicaria
비추천명: 점박이여뀌
정명학명: 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이명학명: Polygonum flaccidum Meisn.
<상세정보>
분포정보
우리 나라 각처에 분포한다.
꽃설명
꽃은 8월에 피며 백색 바탕에 연한 붉은빛이 돌고 가지 끝에 달리는 이삭꽃차례는 길이 5-10cm로서 가늘며 밑으로 처져서 꽃이 드문드문 달린다. 화피는 녹색이고 윗부분이 적색이며 5개로 갈라지고 선점이 있으며 열매가 익을 때는 홍록색이 섞여서 나타나므로 한층더 아름답다. 수술은 7-8개, 암술대가 2개로 갈라진 1개의 암술이 있다. 씨방은 구형이다.
열매설명
열매는 수과로서 길이 2mm정도이며 세모진 달걀모양이고 흑색이며 작은 점이 퍼져 있고, 광택은 없다.
생육환경설명
논두렁이나 냇가에서 자란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5-10cm, 폭 1-2.5cm로서 양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마르면 원줄기와 더불어 적갈색이 돈다. 잎집의 탁엽은 막질이며 길이 8-13mm로서 복모가 있고 연모는 길이 3-8mm이며 가장자리에도 털이 있다. 잎에 흑색점이 있으며 매운맛이 없고 엽병이 있다.
원산지
한국.
형태
1년생 초본.
유사식물설명
▶이삭여뀌(P. filiforme):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고, 마디가 굵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며느리배꼽(P. perfoliata):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미꾸리낚시(P. sieboldii):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고, 꽃은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에 두상으로 달린다.
▶쪽(P. tinctoria): 거의 털은 없고 줄기는 원통 모양, 붉은 자주색이다.
특징
▶전체에 선점이 퍼져 있다.
▶여뀌와 비슷하지만 원줄기에 털이 있고 잎에 흑색점이 있으며 매운 맛이 없고 열매가 세모진 것이 다르다.
줄기설명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40-80cm이며 홍자색이고 털이 있다.
크기설명
높이가 40-80cm 정도로 자란다.
사용법
▶근경이 달린 전초는 홍초, 꽃차례는 홍초화, 과실은 수홍화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홍초
①늦가을 서리가 내린 후 뿌리째 뽑아서 깨끗이 씻어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잎은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건조한다. 습기가 차지 않도록 건조한 장소에 저장한다.
②성분 : 잎은 flavonoid의 orientin과 orientoside, plastoquinone을 함유한다.
③약효 : 류마티즘성 관절염, 말라리아, 각기, 瘡腫(창종)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5-30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분말로 살포하거나 煎液(전액)으로 환부를 씻는다.
⑵홍초화
①약효 : 散血(산혈), 消積(소적), 지통의 효능이 있다. 心, 胃氣痛(심,위기통), 이질, 腹腔(복강) 내의 積塊(적괴), 횡현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3-6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분말로 하거나 졸여서 膏劑(고제)로 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膏劑(고제)로 만들어 붙인다.
⑶수홍화자
①8-9월 果穗(과수)를 따서 햇볕에 말려 과실을 털어 협잡물을 제거한다.
②성분 : 홍초의 종자에는 전분이 41.51%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散瘀(산어), 破積(파적), 健脾利濕(건비이습)의 효능이 있다. 복통, 소화불량, 만성간염에 쓰이며 협복징적, 수고, 위통, 식욕부진, 腹腸(복장), 급성결막염, 瘡腫(창종), 나력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9g(대량투여시는 30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散劑(산제), 膏劑(고제),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膏藥(고약)을 만들어 붙이거나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바위괭이눈 (0) | 2023.01.14 |
---|---|
[식물도감] 바위고사리 (0) | 2023.01.14 |
[식물도감] 바늘청사초 (0) | 2023.01.14 |
[식물도감] 바늘여뀌 (0) | 2023.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