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미루나무

MinorMan 2023. 1. 12. 19:08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미루나무

과국명: 버드나무과

과명: Salicaceae

속국명: 사시나무속

속명: Populus

비추천명: 모니리페라포풀라,모나리백양,강선뽀뿌라(북),텔토이데스포플라나무(중),미류,미류나무

정명학명: Populus deltoides Marsh.

이명학명: Populus monilifera Aiton


<상세정보>

방제방법

▶황철나무 알락하늘소 : 이 해충의 방제법으로는 5월 중순에 피레스유제, 파프유제 또는 바이린유제등을 가지와 잎에 뿌려준다. 또 유충이 자른 가지를 제거해서 태워주는 것도 방제법의 하나이다.

▶미국흰불나방 : 방제법으로 주론수화제, 트리므론수화제 6,000배액을 6월 초순과 8월 중순에 살포한다. 또 6월 초순과 8월 초순에 유충이 모여사는 잎을 따서 태우거나 땅에 묻어버린다.


번식방법

▶종자로 번식시키고 있으나 대부분 삽목에 의한다.

▶실생 : 종자는 사전처리가 필요없다. 종자는 성숙한 뒤 10일 가량 되면 발아력을 상실하므로 종자보관에 유의해야 한다.

▶삽목 : 삽수는 전년지를 2월 하순-3월 상순경 20cm로 잘라서 냉암소에 보관했다가 4월경에 삽목한다.


병충해정보

▶황철나무 알락하늘소 : 어린 유충이 나무껍질 속을 가해하며, 성장한 유충은 목질부를 뚫고 들어가 가지속에 갱도를 만들고 가해한다. 어린 유충이 가해한 곳은 혹이 생기고 바람에 쉽게 부러져 7-8월에 부러진 가지와 나무에 주렁주렁 달려 있다.

▶미국흰불나방 : 어린 유충이 거미줄로 잎을 싸고 그곳에서 모여 살면서 잎을 갉아 먹으며 큰 유충은 흩어져 잎을 모조리 갉아먹는다.


분포정보

▶미국 중부, 동부, 남부에 걸쳐 분포한다.

▶전국에 재식한다.


재배특성

▶조림 : 묘목이 크므로 70㎝이상 땅을 파고 깊게 심는다. 땅고르기작업은 모두베기를 하는데 산사면, 계곡부와 같이 잡관목이 많은 곳은 식재전년도에 글라신액제, 헥사지논입제, 테트라피온입제등 제초제를 살포하고 식재하면 사후관리가 쉽다.

▶풀베기 : 모두베기로 3년간 실행하는데 매년 2-3회씩 해 주어야 한다. 잡초와 잡관목은 수분과 양분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해충의 서식처가 되므로 풀베기를 게을리하면 큰 피해를 받게 된다.

▶잡목솎아베기 : 하천부지, 공한지등에 심게되므로 잡목은 드물며, 산사면 또는 계곡부에 심은 경우에는 풀베기를 철저히 한곳은 잡목솎아베가가 필요없으나 칡덩굴이 우거진 곳은 덩굴치기를 실시하고 병충해피해목, 불량목 등을 제거해주는 것이 좋다.

▶간벌 : 기준본수만 심으면 간벌을 하지 않아도 되는데 밀식한 경우에는 간벌을 해주어야 한다. 이때 간벌은 6-9년 사이에 정보당 400본 내외만 남기고 모두 베어준다.

▶수확 : 심은지 15-20년이 지나면 수확할 수 있다.


꽃설명

꽃은 3-4월에 피고 꼬리모양꽃차례로서 암수딴그루이다. 수꽃 꽃차례는 길이 7-10cm로 40-60개의 수술이 달린다. 꽃은 잎이 피기 전에 핀다.


열매설명

과수(果穗)는 길이 15-20cm이고, 열매는 삭과로서 3-4개로 갈라지며 5월에 성숙한다.


생육환경설명

▶하천변이나 습윤비옥한 계곡지역이 식재 적지이다.

▶내한성이 강해서 전국 어디에서나 잘 자라며 햇빛에 대한 요구량이 크고 습기, 바닷바람, 대기오염에 견디는 힘이 강하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며 난상 삼각형 또는 넓은 달걀모양이며 두꺼운 편이며,점첨두이고 아심장저 또는 예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7-12cm로서 내곡거치(內穀鋸齒)가 있고 털이 없으며 밑부분에 2-3개의 꿀샘(蜜腺)이 있다.잎표면에 주름이 약간 있다. 엽병은 길고 편평하므로 바람에 잘 흔들린다. 잎밑에 선점(腺點)이 있으며 잎은 폭보다 길이가 길므로 양버들과 쉽게 구별된다.


원산지

북미 원산.


형태

낙엽 활엽 교목.


유사식물설명

▶양버들(P. nigra var. italica) : 잎이 찌그러진 삼각형이며 미루나무와 상대적으로 폭이 더 긴 것이 차이점이며, 가지가 위로 자라 수형이 빗자루같다.


특징

▶미국에서 들어왔으므로 미류(美柳)라고 부르며 양버들과는 잎의 길이가 폭보다 긴것이 다르다.

▶생장이 빠르고 재질도 좋다.

▶수형은 상부가 이태리포플러처럼 넒게 퍼진다.


줄기설명

높이 30m, 폭 1m로서 나무껍질은 회색 또는 흑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진다. 일년생가지는 털이 없고 거의 둥글며 능선이 약간 있으나 맹아에 있어서는 능선이 뚜렷하고 동아는 털이 없으며 갈색이고 점성이 강하다. 잎자루가 붙은 자리에서 아래쪽으로 3갈래의 능선이 뚜렷하게 발달한다.


크기설명

높이 30m, 지름 1m정도로 자란다.


사용법

▶목재는 상자재, 성냥, 젓가락, 펄프재로 이용되며, 습기가 많고 토질이 불량한 지역에 조림용으로 적당하다.

▶조경가치 및 용도 : 녹음수 또는 저습지녹화용으로 이용되며 가로수로 사용된다. 그러나 여타 포플라와 마찬가지로 여러 단점이 있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미선나무  (0) 2023.01.12
[식물도감] 미모사  (0) 2023.01.12
[식물도감] 미나리아재비  (0) 2023.01.12
[식물도감] 미나리냉이  (0) 2023.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