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등

MinorMan 2023. 1. 2. 17:11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등

영문명: Common wisteria

과국명: 콩과

과명: Fabaceae

속국명: 등속

속명: Wisteria

비추천명: 등나무,연한붉은참등덩굴,왕등나무,조선등나무,참등,참등나무

정명학명: Wisteria floribunda (Willd.) DC.

이명학명: Wisteria multijuga Van Houtte


<상세정보>

번식방법

▶번식은 실생 및 무성생식으로 한다.

①실생 : 가을에 충분히 성숙한 종자를 채취하여 잘 저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종자를 노천매장하거나 모래와 섞어 두었다가 파종하기도 한다.

②무성생식 : 삽목 및 휘묻이로 증식시키며 품종보존을 위하여 접목하기도 한다. 2-3월에 가지삽목을 실시해도 뿌리가 잘 내린다.


병충해정보

▶병충해 : 녹병, 잎말이나방


분포정보

▶일본에도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정원과 공원에 심고 있으며 경남과 전남 일부에 자생한다.


꽃설명

꽃은 5월에 잎과 같이 피고, 많은 꽃이 그 해에 자란 가지끝에 길이 30-40㎝크기의 총상꽃차례로 늘어지거나 액생한다. 꽃대축에는 흰털이 밀생한다. 꽃은 지름 2cm로서 연한 자주색이며 꽃자루는 길이 12-25mm이고 잔털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털이 있으며 기꽃잎은 둥글고 미요두로서 연한 자주색이지만 기부가 황록색이며 기꽃잎 아래쪽에는 2개의 귀 모양의 돌기가 나 있다. 날개꽃잎 및 용골꽃잎은 짙은 자주색이고 용골꽃잎은 끝쪽이 동합한다.


열매설명

협과는 길이 10-15cm 이고 넓적하며 짧은 털이 밀생하며 기부로 갈수록 좁아진다. 종자는 둥글고 넓적하며 지름이 11-14mm , 갈자색이며 광택이 있다. 열매는 9월에 성숙하고 1월까지 그대로 달려 있다.


생육환경설명

성장이 빠르고 부식질이 많은 비옥한 계곡이나 산기슭에서 잘 자라고 번성한다. 내한성이 강하며 건조척박한 곳일지라도 생장이 양호하고 바닷가나 공해가 있는 곳에서도 잘 견딘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고 홀수깃모양겹잎이이며 소엽은 13-19개이고 난상 타원형 또는 난상 긴타원모양이며 점첨두 원저이고 길이 4-8c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작은잎자루는 길이 4-5mm로서 털이 있다. 잎 위쪽은 진한 녹색이고 광택이 있다. 어린 잎에는 견모가 있으나 자란 후 없어진다.


뿌리설명

땅속줄기가 잘 뻗으며 활착이 용이하고 오른쪽으로 감기고 올라 간다.


형태

낙엽활엽만경(蔓莖)목


유사식물설명

▶흰등(for. alba Rehd et Wils.): 백색꽃이 피는 것.


특징

▶천연기념물

제89호 - ⓐ소재지:경상북도 경주시 오류리 ⓑ지정사유:노거수 ⓒ크기:높이 17m, 길이 20m, 흉고직경 각각 20cm, 40cm, 40cm, 50cm

제254호 - ⓐ소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면적:1주 ⓒ지정사유:노거수 ⓓ수령:750~900년 ⓔ가슴높이 줄기둘레:185cm

제176호 - ⓐ소재지: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 ⓑ지정사유:생태학적 연구자원 ⓒ면적:55,934㎡

▶나무 또는 다른 물체를 감거나 기어 올라간다.


줄기설명

가지는 덩굴이 되어 길게 뻗어 10m이상으로 자란다. 줄기는 대게 왼쪽으로 감아 올라가고, 처음에는 갈색 털이 밀생하나 차츰 없어지며 회백색으로 된다. 일년생가지는 얇은 막으로 덮여 있다.


크기설명

길이 10m이상으로 자란다.


사용법

▶물체를 기어 올라가는 습성이 좋으며, 봄철에 약 15일간 피는 꽃은 아름다워 파골라, 테라스, 아치 등에 심으면 좋다. 도로변이나 절개지, 사방지에 심어 토양을 안장시키는 데도 적합하다. 분재의 재료로도 이용된다. 정원수 생화용 및 절토지피복으로 이용되고 있다.

▶꽃과 열매는 식용하기도 한다.

▶염료 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 적은 양으로도 염색되는 좋은 염료 식물이다. 잎을 채취하여 잘게 썬 다음 20분간 끓여서 얻은 염액으로 색을 낼 수 있었다. 채취 시기에 따라 색상이 서로 달랐는데 가을의 등잎에서 붉은빛이 많았으며 봄 잎의 색상보다 짙었다. 매염제에 대한 반응도 좋아서 다양한 색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등골나물  (0) 2023.01.02
[식물도감] 등갈퀴나물  (0) 2023.01.02
[식물도감] 들현호색  (0) 2023.01.02
[식물도감] 들하늘지기  (0) 2023.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