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들깨

MinorMan 2023. 1. 1. 04:14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들깨

영문명: Beefsteak mint

과국명: 꿀풀과

과명: Lamiaceae

속국명: 소엽속

속명: Perilla

정명학명: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이명학명: Perilla ocimoides L.


<상세정보>

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분포정보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꽃설명

꽃은 8~9월에 피고 백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의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꽃받침은 길이 3~4mm로서 위쪽의 것이 3개로 갈라지며 아래쪽 것은 보다 길고 2개로 갈라지며 긴 털이 있고 꽃부리는 길이 4-5mm로서 하순이 약간 길다.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설명

분과(分果)는 꽃받침안에 들어 있고 둥글며 지름 2mm정도로서 겉에 그물무늬가 있다. 종자를 짜서 얻은 기름을 임유(荏油:들기름)라 한다.


생육환경설명

밭, 들에 난다.


잎설명

잎은 마주나기하며 난상 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 도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7-12cm, 나비 5-8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녹색이지만 때로는 뒷면에 자줏빛이 돌고 엽병이 길다. 잎을 임엽(荏葉)이라 한다.


원산지

동남아시아 원산.


형태

한해살이풀.


유사식물설명

차즈기, 청소엽 등이 있다.


줄기설명

높이 60-90cm이고 사각이 지며 곧게 자라고 긴 털이 있다. 전체적으로 강한 냄새가 나며 줄기는 방형(方形)으로 가지가 달린다.


크기설명

높이 60-90cm.


사용법

▶종자는 들기름의 원료이며, 잎은 식용한다.

▶과실은 白蘇子(백소자), 莖(경)은 白蘇梗(백소경), 葉(엽)은 白蘇葉(백소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白蘇子(백소자)

①가을에 과실이 성숙하면 전초를 채취하여 과실을 떨어내어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종자는 脂肪油(지방유)를 함유하며 주요한 것은 linolenic acid, palmitic acid이다. 전초는 精油(정유)를 함유하고 油(유) 중에는 l-perilla aldehyde, egomaketone, matsutake alcohol, l-linalool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降氣(강기), 消痰(소담), 潤肺(윤폐), 滑腸(골장)의 효능이 있다. 咳逆(해역-咳嗽(해수)), 痰喘(담천), 氣滯便秘(기체변비)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5-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⑵白蘇梗(백소경)

①열매가 성숙한 가을에 老莖(노경)을 채취하여 열매와 枝葉(지엽)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順氣(순기), 消食(소식), 止痛(지통), 安胎(안태)의 효능이 있다. 氣鬱(기울), 色滯(색체), (흉격비민), 胃·腹部(위·복부)의 疼痛(동통), 임신복통, 下墜感(하추감), 惡阻(악조) 등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5-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⑶白蘇葉(백소엽)

①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채취하여 잎을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진 장소에서 말린다.

②성분 : 잎은 주성분이 perillaketone인 精油(정유)를 함유한다.

③약효 : 解表(해표), 散寒(산한), 理氣(이기), 消食(소식)의 효능이 있다. 또 感氣風寒(감기풍한), 惡寒(악한), 發熱(발열), 咳嗽(해수), 氣喘(기천-喘息(천식)), 食積(식적), 吐瀉(토사-구토, 설사), 冷痢(냉리-冷(냉)에 의한 설사)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5-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 가루를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들다닥냉이  (0) 2023.01.01
[식물도감] 들깨풀  (0) 2023.01.01
[식물도감] 들개미자리  (0) 2023.01.01
[식물도감] 들갓  (0) 2023.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