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둥근매듭풀
영문명: Korean clover
과국명: 콩과
과명: Fabaceae
속국명: 매듭풀속
속명: Kummerowia
비추천명: 동근매듭풀
정명학명: Kummerowia stipulacea (Maxim.) Makino
이명학명: Lespedeza striata Hook. & Arn. var. stipulacea Debeaux
<상세정보>
분포정보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꽃설명
7월에 길이 5-8mm의 연한 홍자색나비형꽃이 잎겨드랑이에서 1-2개씩 핀다. 꽃받침은 종형으로 자줏빛을 띠고 5갈래이며 흰털이 있다. 기꽃잎은 타원형이며 꽃받침보다 2배 길고 날개꽃잎은 기꽃잎보다 길거나 같고 용골꽃잎은 날개꽃잎보다 길다.
열매설명
협과는 동글납작하며 1개의 검은 종자가 들어 있고 8-9월에 익는다.
생육환경설명
산야의 모래자갈땅.
잎설명
잎은 장상 3출복엽이며 턱잎은 막질이고 달걀모양이며 엽병보다 길다. 소엽은 거꿀달걀모양으로 길이 0.5-1cm, 폭 3-8mm이고 요두에 쐐기모양이며 측맥은 밀집되고 표면은 털이 성글게 있으며 주맥에 센털이 있고 뒷면에 주맥도 잎 가장자리와 더불어 백색센털이 있다.
보호방안
약용자원으로서 잠재적인 가치가 매우 높은 생물자원이기 때문에 해외반출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형태
한해살이풀
유사식물설명
매듭풀(K. striata (Thunb.) Schindl.)은 줄기에 밑을 향한 털이 나며, 작은잎은 도란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꽃받침은 털이 나므로 다르다.
줄기설명
줄기는 곧추서며 밑에서 가지를 많이 내고 거슬러 난 흰 털이 있다.
크기설명
높이가 10-20cm 정도로 자란다.
사용법
▶매듭풀, 둥근매듭풀의 전초를 鷄眼草(계안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7-8월에 채취하여 신선한 것으로 쓰거나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계안초의 잎에는 flavonoid류(類) 및 gluocose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해독, 健脾(건비), 利濕(이습)의 효능이 있다. 感冒發熱(감모발열), 暑濕吐瀉(서습토사), 말라리아, 이질, 傳染性肝炎(전염성간염), 熱淋(열림), 白濁(백탁)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유액을 바른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둥근배암차즈기 (0) | 2022.12.31 |
---|---|
[식물도감] 둥근바위솔 (0) | 2022.12.31 |
[식물도감] 둥근말발도리 (0) | 2022.12.31 |
[식물도감] 둥근마 (0) | 2022.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