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두릅나무

MinorMan 2022. 12. 30. 07:05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두릅나무

영문명: Korean angelica tree

과국명: 두릅나무과

과명: Araliaceae

속국명: 두릅나무속

속명: Aralia

비추천명: 둥근잎두릅,둥근잎두릅나무,드릅나무,민두릅나무,애기두릅나무,참드릅

정명학명: Aralia elata (Miq.) Seem.

이명학명: Aralia chinensis L. var. glabrescens (Franch. & Sav.) C.K.Schneid.


<상세정보>

방제방법

▶응애: 살비제를 사용한다.

▶하늘소: 유기인제 1,000배액을 살포하여 방제한다.

▶녹병:병에 걸린 낙엽을 긁어 모아 태우고 4월 중.하순경의 발아 직전에 석회유황 합제 5%액을 수관에 철저히 살포해 준다. 매년마다 이 병이 심한 과원은 장마가 끝난 후에 다이센 M-45 600배액 또는 디포라탄 800배액을 10-15일 간격으로 3회 이상 살포하여 예방에 힘쓴다.

▶줄기마름병: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하고 동해나 피소를 막기 위하여 나무줄기에 백색수성페인트를 발라준다.

▶잎벌레 : 유충가해기인 5월하순에서 7월하순에 디프제 1,000배액, 나크 3% 분제(ha당 40kg) 등을 수관에 살포한다. 4월 하순에서 5월 상순, 7월-8월에 성충을 포살한다.


번식방법

실생, 근삽, 분주등에 의한 번식을 하며 근맹아 분주 증식이 용이하다. 증식방법은 파종할 경우 9월에 채종하여 기건 저장하였다가 춘기에 파종을 하나 발아율은 매우 낮은 편이다.


병충해정보

나무두릅의 병해는 궤양병, 녹병, 뒤면모무늬병, 줄기마름병이 있고, 충해로는 응애, 하늘소, 두릅나무잎벌레 등이 있다.

▶응애: 도시 근교지역이나 평야지에서 재배할 때 발생된다.

▶하늘소: 8월경에 나무두릅 가지속에 구멍을 뚫고 침입하여 나무속을 갉아 먹는다.

땅두릅의 병해충은 묘두를 나눌 때 생기는 썩음병만 예방한다면 별로 문제가 되지 않아 재배관리가 쉽고 경영적으로 매우 유리하다.


분포정보

전국 분포


재배특성

1)재배기술

①번식 - 보통 뿌리꽂이에 의해 번식한다. 뿌리꽂이 묘는 3년생 모수에서 100개 이상 채취할 수 있는데 길이 10㎝이상, 굵기 6㎜이상으로 다듬어야 좋다. 시기는 눈트기 전이 좋은데 대체로 3월 상순~5월 상순이 알맞다.

②정식 - 대체로 눈트기 전이 알맞으며 정식거리는 60X60㎝로 300평당 약 3,000주가 소요된다. 나무두릅은 깊이, 넓이 각각 45~60㎝의 구덩이를 파고 퇴비나 닭똥을 구덩이마다 겉흙과 잘 섞어서 채운 다음 그 위에 묘목을 심고 물을 충분히 준 후 다시 마른 겉흙으로 덮어준다. 땅두릅의 정식거리는 이랑나비 90㎝, 포기사이 45~60㎝가 알맞으며 300평당 약 1,800~4,800주의 종묘가 소요된다.

③재배방법 - 나무두릅은 조기재배법과 하우스재배법이 있고 땅두릅은 채소용 줄기 연화재배법이 있다.

▶조기재배법 : 2월 하순경 나무두릅의 순에 폭6㎝,길이 20㎝의 비닐자루를 씌워주거나 지베렐린을 1~2ppm의 농도로 두릅순에 0.5~1단 정도 소형분무기로 뿌려준다.

▶하우스재배법 : 1-2월경 눈을 2-3개정도 붙인 나무두릅의 가지를 길이 20㎝이상으로 잘라 하우스내에 빽빽히 세워두고 낮20-25℃, 밤 10-15℃로 보온하면 30-40일 후부터 수확할 수 있다.

▶촉성연화재배 : 묘두를 2월 상순경 하우스내에 정식하여 3월 중순경까지 왕겨를 덮고 그위에 투명비닐터널을 만들어 주고 해가림을 해줌으로써 연화시키는 방법이다. 이때 묘두 100주당 지베렐린을 물 20ℓ에 0.2g을 타서 뿌려주면 생육이 촉진된다.

2)관리

①중경제초 - 묘목을 정식한 후 생육초기에 묘목근처의 잡초를 뽑아주거나 낫으로 베어준다. 제초작업은 연 2회정도 실시하면 충분하다.

②가지치기와 솎음질 - 나무두릅은 정식 후 2년차부터 4월 하순~5월상순경에 새순을 수확한 후 밑둥치 60㎝정도 남기고 전정하여 준다. 4년차부터 땅 속에서 돋아나는 새움을 제거하여 준다. 한포기당 새순을 딸 수 있는 가지는 4개정도만 남겨두고 나머지는 솎아준다.

3)수확

나무두릅의 경우 하우스재배시 1월부터 노지재배시 4월부터 수확이 가능하다. 노지재배의 10a당 수확량은 3년생의 경우 100-150㎏정도이며 6년생부터는 200-300㎏까지 생산된다. 땅두릅의 경우 뿌리는 정식 후 그 해 늦가을에 수확하지만 약초의 시세와 형편에 따라 다음해 가을 또는 봄에 수확할 수 있다. 300평당 수량은 보통 건재로서 240-300㎏정도이다.


꽃설명

복총상꽃차례로 길이가 30~45cm이고, 꽃은 양성 또는 수꽃이 섞여있으며 지름 3mm로 흰색이고 꽃잎, 수술 및 암술대는 각각 5개이며 6월 말~8월 말 개화한다.


열매설명

열매는 장과상 핵과로 둥글고 지름 3mm로 검은색이며, 종자는 뒷면에 입상의 돌기가 약간 존재하며 9월 중순 ~ 10월 중순에 성숙한다.


생육환경설명

토양은 토심이 깊고 토양습윤 조건이 적합한 곳에서 자란다. 지형은 계곡이나 산복부의 북향이나 북동향 방향인 지역으로 경사 15~30도가 적당하다. 해발고는 200~600m, 비음도는 25~35%가 적당하며 산성도(PH)는 5.1~5.8이 알맞다.

나무두릅은 평지로부터 해발 1,000m이상의 높은 지대까지 자생하고 있는만큼 내한성이 강하다. 땅두릅은 내한성이 강하며 토질은 별로 가리지 않으나 거름기가 많은 비옥하고 물빠짐이 좋은 양토 또는 식양토가 가장 알맞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고 홀수 2회 깃모양겹잎이며 잎축과 소엽에 가시가 있고 소엽은 달걀형이며 점첨두이고 넓은 예형 또는 원저이고 길이와 폭이 각 5~12cm × 2~7cm로, 큰톱니가 있고 뒷면은 회색이며, 맥 위에 털이 있다.


해외분포

일본, 중국, 극동러시아


보호방안

두릅은 고급 산채로, 맛과 향기가 독특하여 수요가 늘어가고 있다. 그러므로 자연산과 비슷한 맛과 향을 지니며, 출하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재배기술이 개발된다면 봄철의 소득원으로서 상당히 유망한 품목이다.


생육형

낙엽 활엽 관목


유사식물설명

▶둥근잎두릅(var. rotundata NAK.): 잎이 작고 둥글며 엽축의 가시가 크다.

▶애기두릅(var. canescens NAK.): 잎 뒷면 특히 맥계에 갈색 또는 황색의 짧은 털이 있으며 두릅나무에 비해 전체의 가시가 적다.


특징

근맹아가 많이 발생하고 생장속도는 보통이다.


줄기설명

가지에 가시 같은 돌기 발달하였고 털이 많고, 굳센 가시가 많다.


크기설명

높이 3~4m.


사용법

▶주요 조림수종 : 특용수종

▶새순은 데쳐서 식용으로 먹을 수 있는 진미식품이다.

▶밀원, 관상용으로도 가치가 있다.

▶根皮(근피), 나무껍질을 총목피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에 채취하여 가시는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强心配糖體(강심배당체), saponin, 精油(정유) 및 미량의 alkaloid가 함유되어 있다. 뿌리에는 oleanol酸(산)의 배당체인 araloside A,B,C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잎에는 saponin이 들어 있고 aglycon은 hederagenin이다.

③약효 : 補氣(보기), 安神(안신), 强精滋腎(강정자신), 祛風(거풍), 活血(활혈)의 효능이 있다. 消炎(소염), 이뇨, 驅瘀血藥(구어혈약)으로 응용되며 신경쇠약, 류머티성 관절염, 腎炎(신염), 肝硬變(간경변), 만성간염, 위장병, 당뇨병, 陽虛氣弱(양허기약), 腎陽不足(신양부족)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5-30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두메개고사리  (0) 2022.12.30
[식물도감] 두메갈퀴  (0) 2022.12.30
[식물도감] 두루미천남성  (0) 2022.12.30
[식물도감] 두루미꽃  (0) 2022.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