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돌콩

MinorMan 2022. 12. 29. 23:08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돌콩

영문명: Wild soybean

과국명: 콩과

과명: Fabaceae

속국명: 콩속

속명: Glycine

정명학명: Glycine max (L.) Merr. subsp. soja (Siebold & Zucc.) H.Ohashi

이명학명: Rhynchosia argyi H.Lév.


<상세정보>

분포정보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꽃설명

꽃은 7-8월에 피고 길이 6mm정도로서 연한 자주색이며 접형화가 잎겨드랑이에서 길이 2-5cm의 총상꽃차례로 핀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5갈래이며 털이 있고 열편은 판통과 길이가 비슷하다. 수술은 10개로서 각 2개로 갈라진다.


열매설명

협과는 길이 2-3cm, 폭 4-5mm로서 황갈색의 거센털이 있으며 2-4마디이고 9월에 성숙한다. 종자는 흑갈색이고 타원형이거나 콩팥모양 비슷하며 약간 편평하고 광택이 없으며 작은 콩알 비슷하다.


생육환경설명

산양의 습초지.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은 길이 7-16cm로서 길며 우상(羽狀)3출복엽이며 짧은 털이 있다. 소엽은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3-8cm, 폭 10-25mm로서 둔두이며 원저 또는 쐐기모양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탁엽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2-3mm로서 맥이 있고 작은잎턱잎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5-2mm로서 3맥이 있다.


원산지

한국


형태

덩굴성 한해살이풀


줄기설명

덩굴성으로 길이가 2m에 달하며 밑으로 거슬러 난 갈색털이 있다.


크기설명

덩굴의 길이가 2m 정도로 자란다.


사용법

▶종자는 길금콩 비슷하므로 먹을 수 있을 것이다.

▶덩굴은 가축의 사료로 이용한다.

▶경(莖), 엽(葉), 근(根)은 野大豆藤(야대두등), 종자는 野料豆(야료두)라 하며 약용한다.

⑴野大豆藤(야대두등)

①가을철 개화 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健脾(건비)의 효능이 있다. 盜汗(도한), 傷筋(상근)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30-12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粉末(분말)을 만들어 조합하여 붙인다.

⑵野料豆(야료두)

①가을에 열매가 익었을 때 全株(전주)를 베어 종자만 취하여 건조한다.

②성분 : 脂肪油(지방유) 18-22%, 단백질 30-45%가 함유되어 있고 아울러 탄수화물과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補肝(보간), 腎益(신익), 祛風(거풍), 해독의 효능이 있다. 陰虧目昏(음휴목혼), 腎虛腰痛(신허요통), 盜汗(도한), 筋骨疼痛(근골동통), 産後風痙(산후풍경-임부의 溺(휵닉)), 소아의 疳症(감증)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돌피  (0) 2022.12.29
[식물도감] 돌토끼고사리  (0) 2022.12.29
[식물도감] 돌채송화  (0) 2022.12.29
[식물도감] 돌지치  (0) 2022.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