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돌가시나무

MinorMan 2022. 12. 28. 04:23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돌가시나무

영문명: Wichura’s rose

과국명: 장미과

과명: Rosaceae

속국명: 장미속

속명: Rosa

비추천명: 긴돌가시나무,대도가시나무,대마도가시나무,반들가시나무,붉은돌가시나무,제주찔레,홍돌가시나무,흑산가시,흑산가시나무

정명학명: Rosa lucieae Franch. & Rochebr. ex Crép.

이명학명: Rosa tsusimensis Nakai


<상세정보>

분포정보

중국 남부, 일본(혼슈~오키나와), 필리핀, 한국(중부 이남)


노트

Franchet and Rochebrune (1871)이 본 종을 발표할 당시 종소명을 ‘luciae’로 발표하였는데 이는 틀린 이름으로 ‘lucieae’라는 종소명을 사용해야 한다. 줄기에 샘털이 없는 것을 흑산가시(R. kokusanensis Nakai)라고 하지만 이는 돌가시나무에서 흔하게 보는 개체변이로 판단된다(Chang et al., 2011). 일부 지역에서 드물게 돌가시나무와 찔레의 특징을 모두 갖춘 교잡으로 추정되는 개체들도 확인되므로 이들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형태

생활형은 포복성의 반상록성 소관목이며, 일년생 가지는 묵은 가지로부터 높이 10∼30cm정도로 자란다. 줄기는 일반적으로 땅위를 기며, 원통형으로 발달하고, 전체적으로 가시가 성기게 달린다. 묵은 가지는 갈색을 띠고, 직경은 1.5∼7mm이고, 털이 없으며, 종종 마디에서 뿌리를 내린다. 일년생 가지는 녹색에서 적갈색을 띠고, 직경은 1.2~4mm이며, 발생초기에는 털이 발달하지만 곧 사라진다. 가시의 길이는 약 5mm정도이고, 다소 납작하며, 정단으로 가면서 점점 뾰족해 지고 곧거나 약간 구부러지고, 기부의 형태는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급하게 넓어져 줄기와 부착된다. 잎은 호생하며, 5∼9개의 소엽으로 이루어진 홀수우상복엽이다. 엽병을 포함한 복엽의 전체적인 크기는 4.5∼12 x 2∼5cm이다. 탁엽은 엽병의 기부에 붙고, 크기는 7∼27 x 2.4∼12.1mm이며, 선단부 양쪽이 피침형으로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 예거치가 발달하며, 종종 거치의 정단에 분비조직이 있다. 엽병은 길이 8∼25mm로 엽축 과 더불어 작은 가시 또는 샘털이 성기게 달린다. 소엽은 광타원형, 타원형, 난형 또는 도란형이고, 크기 0.5∼2.5 x 0.4∼1.8cm이며, 양면에는 털이 없고, 이면에 중맥이 뚜렷이 발달한다. 소엽의 엽선은 원두, 둔두 또는 예두이고, 엽연은 예거치가 성기게 발달하며, 엽저는 둥글거나 넓은 쐐기형이다. 꽃은 5 ∼7월에 피며, 일년생 가지 끝에 1개(단정화서)에서 여러개(∼13개)의 양성화가 산방화서를 이루며 달 린다. 소화경은 길이 5∼15mm이고, 아구형의 화탁통과 더불어 샘털이 성기게 있거나 없다. 포는 조락 성으로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거치가 성기게 발달한다. 꽃받침은 5개, 피침형이고, 녹색, 크기는 7.9∼15 x 2.8∼6mm, 표면에는 털이 있고, 이면에는 털이 거의 없으며, 결실기가 되면서 점점 뒤로 젖혀진다. 꽃받침의 선단부는 점첨두, 가장자리는 매끄럽거나 1∼4개의 미세한 열편이 불규칙적으로 발달한다. 화피는 흰색으로, 5장이 2∼4.5cm의 직경으로 달리며, 화피편은 도란형으로 선단부는 원두, 평두, 또는 요두이며, 기부는 쐐기형이다. 수술은 다수이고, 암술대는 여러 개가 하나로 융합된 형태로 겉에 털이 있으며 수술보다 약간 길다. 열매는 장미과(hip)이고, 구형 또는 아구형으로, 크기 8.2∼11.7 x 6.8 ∼9.7mm이다. 표면은 매끈하거나 드물게 샘털이 성기게 달리고, 10∼11월에 적갈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다소 각진 난형으로, 크기 4.2∼5.6 x 2∼3mm이고, 갈색이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돌기네모골  (0) 2022.12.28
[식물도감] 돌갈매나무  (0) 2022.12.28
[식물도감] 돈나무  (0) 2022.12.28
[식물도감] 독활  (0) 2022.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