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단풍박쥐나무

MinorMan 2022. 12. 24. 04:02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단풍박쥐나무

영문명: Palmate-leaf alangium

과국명: 박쥐나무과

과명: Alangiaceae

속국명: 박쥐나무속

속명: Alangium

비추천명: 개박쥐나무,단풍잎박쥐나무

정명학명: Alangium platanifolium (Siebold & Zucc.) Harms

이명학명: Marlea platanifolia Siebold & Zucc.


<상세정보>

번식방법

번식은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분포정보

일본 / 한국(경기도 수원시; 강원도 강릉시; 충청북도 제천시; 충청남도 예산군; 전라남도 구례군; 경상북도 영덕군; 경상남도 남해군, 산청군, 함양군; 부산시 금정구)


꽃설명

취산꽃차례는 액생하고 2-3개의 꽃이 달리며 털이 없고 꽃은 처지며 꽃자루와 환절로 되어 있고 꽃받침통은 거꿀달걀모양으로서 끝이 절두이다. 꽃잎은 5개이며 황색 또는 연황색이고 길이 22mm로서 뒤로 말리며 수술이 꽃잎보다 짧고 암술대에 털이 없다.


열매설명

열매는 핵과로 타원상 원형이며 붉은 빛이 도는 흑색으로 익고 길이 10mm이다.


생육환경설명

숲 속에서 자라고 습기가 있는 토양을 좋아하며 주로 전석지같은 곳에 많이 야생한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6-12cm, 폭 5-12cm로서 5(간혹 3)개로 중앙까지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아심장저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해지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백록색으로서 잔털이 있고 주맥 분기점에 밀모가 있으며 기부에 장상 맥이 있다.


원산지

한국


보호방안

자생지 확인이 필요하다.


형태

낙엽 활엽 관목


유사식물설명

▶박쥐나무(A. platanifolium var. macrophyllum Wanger.): 잎은 길이와 폭이 7-20㎝인 원형이나 끝이 3-5개로 얇게 갈라지고 양면에 털이 있다.

▶누른대나무(for. velutinum T. Lee): 잎의 양면에 누런 털이 있는 것.


특징

세계에 약 20종, 우리 나라에는 1종 1변종이 분포한다.


줄기설명

일년생가지에 짧은 잔털이 있다.


크기설명

높이 4m까지 자란다.


사용법

▶새순은 식용한다.

▶나무껍질은 늑피섬유 자원으로 이용한다.

▶잎과 꽃, 열매의 관상가치가 높아 공원이나 정원에 식재하면 좋다.

▶단풍박쥐나무, 박쥐나무의 根(근),수염뿌리, 根皮(근피)는 八角楓根(팔각풍근), 잎은 八角楓葉(팔각풍엽), 꽃은 八角楓花(팔각풍화)라 하며 약용한다.

⑴八角楓根(팔각풍근)

①연중 수시로 캐내어서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팔각풍의 수염뿌리와 근피에는 alkaloid, phenol類(산), 아미노산, 有機酸(유기산), 樹脂(수지)가 함유되어 있다. 수염뿌리에는 주로 alkaloid의 dl-anabashine 및 glucoside가 함유되어 있고 또 强心配糖體(강심배당체)도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祛風(거풍), 通絡(통락), 散瘀(산어),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또 마취 및 筋肉弛緩作用(근육이완작용)이 있다. 류머티성 疼痛(동통), 마목탄탄-반신불수, 心力衰竭(심력쇠갈), 勞傷腰痛(노상요통), 타박상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수염뿌리는 1.5-3g, 뿌리는 3-6g을 달여 복용한다. 또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세척한다.

⑵八角楓葉(팔각풍엽) - 타박상을 치료하고 接骨(접골)한다.

⑶八角楓花(팔각풍화) - 5월에 채취하며, 편두통, 胸腹脹滿(흉복창만)을 치료한다. 粉末(분말)하여 계란과 같이 삶아서 복용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단풍잎돼지풀  (0) 2022.12.24
[식물도감] 단풍버즘나무  (0) 2022.12.24
[식물도감] 단풍마  (0) 2022.12.24
[식물도감] 단풍딸기  (0) 2022.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