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단풍나무
영문명: Palmate maple
과국명: 단풍나무과
과명: Aceraceae
속국명: 단풍나무속
속명: Acer
비추천명: 내장단풍,산단풍나무
정명학명: Acer palmatum Thunb.
이명학명: Acer palmatum Thunb. var. thunbergii Pax
<상세정보>
방제방법
▶백분병: 발아 전부터 타이젠을 뿌려 두거나 백분병이 발생하였을 때는 카라센을 뿌려 방제한다.
▶검은 진이 나오는 병: 봄에 보르드액을 뿌려 두면 효과가 있다.
▶철포충: 구멍에 마라손유제를 주입한다.
▶진딧물: 스미치온을 뿌린다.
▶개각충: 데나뽕을 뿌린다.
▶탄저병 : 실생묘에는 3-3식 보르도액을, 분근묘와 성목은 4-4식 보르도액 또는 다이센수화제 500배액을 6월상순부터 10일 간격으로 부린다.
▶줄기마름병: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하고 동해나 피소를 막기 위하여 나무줄기에 백색수성페인트를 발라준다.
▶미국흰불나방 : 유충가해기에 슈리사이드, 디프 50%유제, 80%수용재 1,000배액을 수관에 살포한다.
▶박쥐나방 : 6월 이전에 임지내의 잡초를 제거, 지표에 마라톤 1,000배액 등 살충제를 살포한다. 유충진입공에 마라톤 등 살충제(500-1,000배)를 주입하고 진흙 등으로 막는다.
▶알락하늘소 : 이 해충의 방제법으로는 5월중순에 피레스유제, 파프유제 또는 바이린유제등을 나무가지와 잎에 뿌려준다. 또 유충이 자른 가지를 제거해서 태워주는 것도 방제법의 하나이다.
번식방법
번식은 10월경 열매가 완전히 성숙하기 전에 채취하여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하며 우수한 품종은 접목하여 증식한다.
분포정보
일본 / 경상남도, 전라남북도, 제주도.
재배특성
전정에 강하고 이식이 용이하며 생장속도는 느리다.
꽃설명
꽃은 잡성 또는 암수한그루로 5월에 피며, 편평꽃차례고 암꽃은 꽃잎이 없거나 2 ~ 5개의 흔적이 있지만, 수꽃은 없고 수술은 8개이고 꽃받침조각은 5개이다.
열매설명
열매는 시과로 길이 1cm정도로, 털이 없으며 날개는 긴 타원형이고 예각 또는 둔각으로 10월 중순 ~ 10월 말에 성숙한다.
생육환경설명
음지와 양지 모두에서 잘 자라는 중용수이고 습기가 약간 있는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내한성과 내병충성, 내공해성은 강하고 내음성은 보통이다.
잎설명
잎은 마주나기하고, 원형에 가깝지만 5 ~ 7(9)갈래로 갈라지며, 열편은 넓은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겹톱니가 있고, 길이와 폭은 각 5 ~ 7cm × 6 ~ 8(9)cm로서, 뒷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적으로 탈락한다. 잎자루 길이는 3 ~ 5cm이며, 약간의 털이 있다.
수피
나무껍질은 털이 없으며 적갈색이다.
보호방안
경제적 가치가 높은 수종으로서 개발 및 대량증식 체계가 갖추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형태
낙엽 활엽 교목.
유사식물설명
▶내장단풍(var. nakaii Uyeki) : 잎이 9(간혹 7)개로 갈라지고 잎 뒷면 맥액에 갈색 털이 있으며 시과가 수평으로 벌어진다.
▶털단풍(var. pilosum Nakai) : 잎이 7-9개로 갈라지고 엽병, 잎 뒷면 주맥, 화경 및 일년생가지에 백색 털이 밀생하며 열매의 날개가 거꿀달걀모양이다.
▶아기단풍(A. micro-sieboldianum NAK.) : 잎 표면에는 털이 있으나 뒷면에는 없고 길이 32-65mm이며 화경에 털이 있고 열매가 좁은단풍의 1/2정도로 크다.
▶세열단풍(A. var. dissectum): 잎이 가늘게 갈라지는 것.
▶홍단풍(A. var. amoenum cv.sanguineum) : 잎이 봄에서 가을까지 붉은 것.
▶야촌단풍(A. var. speciosum) : 잎이 4계절 푸르거나 붉은 것.
특징
▶생장 속도가 빠르고 맹아력이 좋다.
▶변재는 엷은 황색 줄무늬가 있는 백색, 심재는 담갈암록색으로 광택이 있으며 심, 변재의 구분이 뚜렷하고 나이테는 분명치 않다. 산공재로 나무갗은 곱고 치밀하며 목리는 통직하다.
줄기설명
어린 가지는 적갈색
크기설명
높이 15m.
사용법
▶주요 조림수종 : 특용수종
▶경계식재용으로 쓰이며 요점 식재나 군식을 하며 가로조경, 공원수, 정원수, 잔디밭에 단식할 때 쓰이며 분재로도 많이 이용한다.
▶목재는 건축재나 기구재, 악기재, 조각재 등으로 사용된다.
▶염료 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 단풍나무에서 얻어진 염액은 짙게 물드는 좋은 염료로서 매염이 잘 되며 특히 철에 대한 반응이 좋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단풍마 (0) | 2022.12.24 |
---|---|
[식물도감] 단풍딸기 (0) | 2022.12.23 |
[식물도감] 단천향나무 (0) | 2022.12.23 |
[식물도감] 단양쑥부쟁이 (0) | 2022.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