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여주

MinorMan 2023. 2. 21. 06:45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여주

영문명: Balsam Pear, La-kwa, Bitter Gourd, Bitter Cucumbe

과국명: 박과

과명: Cucurbitaceae

속국명: 여주속

속명: Momordica

비추천명: 긴여주,여지,여자,유자

정명학명: Momordica charantia L.

이명학명: Momordica chinensis Hort


<상세정보>

분포정보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꽃설명

꽃은 일가화로서 황색이며 잎겨드랑이에 1송이씩 달리고 포는 달걀모양이며 녹색이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달걀모양이고 꽃부리는 지름 2cm정도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수술은 3개이고 떨어져 있으며 씨방은 3실이고 암술대는 보통 3개로 갈라진다.


열매설명

열매는 타원형이며 혹 모양의 돌기가 밀생하고 황적색으로 익으면 불규칙하게 갈라져서 홍색 육질로 싸여 있는 종자가 나타난다. 성숙한 종자를 싸고 있은 홍색 육질은 달지만 과피는 쓴맛이 있다.


생육환경설명

정원에서 재배한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5-7개고 장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다시 갈라지기도 하고 대개 톱니가 있다.


원산지

아시아 열대원산


형태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유사식물설명

▶수세미오이: 잎은 어긋나기, 잎자루는 길고, 얕게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지며, 갈래는 끝이 뾰족하고, 길이와 폭이 각각 13-30cm, 꺼칠꺼칠하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줄기설명

줄기는 가늘고 길이 1∼3m 자라며 덩굴손으로 다른 물건을 감아서 올라간다.


크기설명

높이는 1∼5m이다.


사용법

▶관상용으로 재배하고 있다.

▶어린 열매는 식용한다.

▶과실은 苦瓜(고과), 뿌리는 苦瓜根(고과근), 줄기는 苦瓜藤(고과등), 잎은 苦瓜葉(고과엽), 꽃은 苦瓜花(고과화), 종자는 苦瓜子(고과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苦瓜(고과)

①가을 이후에 채취하여 썰어서 말리거나 신선한 것을 그대로 쓴다.

②성분 : 과실에는 β-sitosterol-β-d-glucoside와 5,25-stigmastadien-3β-ol-β-d-glucoside의 等分子混合物(등분자혼합물)인 karantin을 함유하고 또 5-hydroxy tryptamine 및 다종의 amino acid 가 들어 있다.

③약효 : 淸暑滌熱(청서척열), 明目(명목), 해독의 효능이 있다. 열병으로 煩渴(번갈)하여 물을 켜는 증상, 中暑(중서-熱射病(열사병)), 이질, 赤眼疼痛(적안동통), 癰腫(옹종), 丹毒(단독), 惡瘡(악창)을 치료한다.

⑵苦瓜根(고과근) - 여름, 가을에 채취한다.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이질, 便血(변혈), 정창종독, 風火痛(풍화통)을 치료한다. 또 심한 齒痛(치통)의 치료에 쓰인다.

⑶苦瓜藤(고과등) - 여름, 가을에 채취한다.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이질, 瘡毒(창독), 齒痛(치통), 小兒胎毒(소아태독)을 치료한다.

⑷苦瓜葉(고과엽) - 여름, 가을에 채취하며, 신선한 잎에는 Momorcine이 함유되어 있다. 胃病(위병), 이질, 정창종독을 치료한다.

⑸苦瓜花(고과화) - 이질을 멈추게 하고 胃氣痛(위기통)을 치료한다.

⑹苦瓜子(고과자)

①성분 : 수분, 無機成分(무기성분), 섬유질, 탄수화물, 脂肪油(지방유)를 함유라고 또 momordicine도 함유한다. 지방유의 구성은 酪酸(락산),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α-eleostearic acid이다.

②약효 : 益氣(익기), 補腸(보장)의 효능이 있다. 병든 쇠고기를 먹고 中毒(중독)을 일으킨 데는 갈아 가지고 물에 타서 복용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연리갈퀴  (0) 2023.02.22
[식물도감] 연꽃  (0) 2023.02.22
[식물도감] 여우팥  (0) 2023.02.21
[식물도감] 여우콩  (0) 2023.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