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여우팥
영문명: Villous dunbaria
과국명: 콩과
과명: Fabaceae
속국명: 여우팥속
속명: Dunbaria
비추천명: 덩굴돌팥,돌팥,새돔부,새콩,여호팥
정명학명: Dunbaria villosa (Thunb.) Makino
이명학명: Atylosia subrhombea Miq.
<상세정보>
분포정보
일본, 중국 / 전라도 및 경상도 이남
꽃설명
총상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며 화경이 짧고 3-8개의 꽃이 달리며 꽃은 7-8월에 피고 마디에 1개씩 달리며 길이와 나비가 각 15-18mm로서 황색이고 꽃자루는 길이 6-8mm이다. 꽃받침은 길이 10mm로서 샘털이 밀생하며 밑의 열편이 가장 길고 기꽃잎은 둥글며 밑부분에 짧은 화조가 있고 양쪽에 둔한 돌기가 1개씩 있으며 용골꽃잎은 반 정도 오른쪽으로 꼬이고 거(距)가 없다.
열매설명
협과는 편평한 선형이며 털이 있고 길이 4.5-5cm, 나비 8mm로서 6-8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9~10월에 익는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며 3출엽으로서 엽병이 길고 비스듬히 선 짧은 털이 밀생하며 뒷면에 적갈색 선점이 있고 정소엽은 사각형 비슷하며 길이와 나비가 각 1.5-3cm로서 끝이 뾰족해지다가 둔해진다. 탁엽은 좁은 난상 삼각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2mm로서 털이 있고 작은잎턱잎은 극히 작다.
원산지
한국
보호방안
세계적으로 분포역이 좁은 식물이며, 작물 품종 개량 시에 유전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생물자원이기 때문에 해외반출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형태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유사식물설명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여우콩에 비해 꽃과 열매가 크고, 열매에 3~8개의 씨가 들어 있으므로 다르다(여우콩은 열매에 2개의 씨가 들어 있음).
줄기설명
퍼지거나 꼬부라진 털이 밀생한다.
크기설명
50~200cm
사용법
▶전초(全草) 및 종자를 野扁豆(야편두)라 하며 약용한다.
①약효 : 無名腫毒(무명종독)을 씻는다. 부인(婦人)의 白帶(백대) 치료에는 종자60-90g과 猪蹄爪(저제조)를 같이 삶아서 白酒(백주)로 沖服(충복)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연꽃 (0) | 2023.02.22 |
---|---|
[식물도감] 여주 (0) | 2023.02.21 |
[식물도감] 여우콩 (0) | 2023.02.21 |
[식물도감] 여우주머니 (0) | 2023.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