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파드득나물
영문명: East Asian wildparsley
과국명: 산형과
과명: Apiaceae
속국명: 파드득나물속
속명: Cryptotaenia
비추천명: 반듸나물,반디나물,참나물
정명학명: Cryptotaenia japonica Hassk.
이명학명: Deringa japonica (Hassk.) Koso-Pol.
<상세정보>
번식방법
씨와 포기나누기로 번식시킨다.
▶씨: 건조시키면 발아력이 상실되므로 가을에 씨가 익으면 채종하여 비닐봉지에 넣어 5℃정도에서 보관한다. 씨는 8℃부터 발아가 시작되며 18~20℃가 발아적온이다.
▶실생번식: 근주양성에 중요하며 파종시기에 이르면 추대하는 포기가 많아지고 너무 늦어지면 생육기간이 짧아서 충실한 근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대개는 4월 하순~5월 초순에 뿌린다. 파종하기 전에 씨를 1주 가량 물에 불렸다가 파종하면 발아가 고르게 촉진된다.
▶포기나누기: 싹트기 전이나 엽축을 수확하고 난 직후에 할 수 있다.
분포정보
일본, 중국 등 아시아 동부와 북미의 온대 /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
재배특성
고온과 장일하에서는 추대하는 성질이 있다. 또 연작을 싫어하므로 재배할 때는 3년 정도로 윤작할 필요가 없다. 씨는 건조를 싫어하며 수명은 2년이다.
꽃설명
6~7월에 원줄기 끝과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겹우산모양꽃차례가 발달하고 꽃자루는 1-4개이며 길이 3-15mm로서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전형적인 우산모양꽃차례같지 않고 백색꽃이 피며 소총포는 짧고 선형이다.
열매설명
열매는 털이 없으며 길이 3-4mm로서 타원형이고 분과의 단편이 둥근 오각형이며 검게 익는다. 8~9월에 익는데 2갈래로 갈라진다.
생육환경설명
▶숲속에서 자란다.
▶해가 잘 들고 공중습도가 높은 곳이나 반그늘진 서늘한 곳이 좋다. 토질은 보수력이 있고 부식질이 많은 비옥한 사질양토가 좋다. 점질토에서는 발육이 나쁘며 뽑았을 때 뿌리의 흙이 잘 떨어지는 흙이 이상적이다.
잎설명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줄기잎은 점차 짧아져서 윗부분에서는 엽초로 되며 3출엽이고 소엽은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3-8cm, 폭 2-6cm로서 양끝이 좁고 뒷면에 윤채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예리한 톱니가 있다. 잎의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이 표면보다 윤이 난다.
원산지
한국
보호방안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으나 재배단계에 있으며 관광지 상대의 수경재배로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 재배채소로 끌어올리면 좋은 산나물이다.
뿌리설명
근경은 짧고 약간 굵은 뿌리가 있으며 육질이고 수염뿌리가 많이 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유사식물설명
참나물(Pimpinella brachycarpa NAKAI)과 흡사하다.
특징
`반디나물` 또는 `참나물`이라고도 하여 아주 향기롭고 상쾌한 맛이 있는 산나물이다.
줄기설명
높이 30-60cm이며 전체에 털이 없고 독특한 향기가 있으며 곧게 자란다.
크기설명
높이 30~60cm로 자란다.
사용법
▶잎과 줄기, 꽃봉오리, 뿌리까지 나물로 이용한다. 뿌리는 굵고 육질이며 단맛이 있어서 그 향과 맛을 살려 조림도 만들고 튀김이나 볶음도 맛있다. 뇌의 활동을 향상시키며 시력도 좋게 하므로 새로운 각도에서 즐겨 이용한다.
▶莖葉(경엽)은 鴨兒根(압아근), 根(근)은 鴨兒芹根(압아근근), 과실은 鴨兒芹果(압아근과)라 하며 약용한다.
⑴鴨兒根(압아근)
①6-7월 개화시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精油(정유)를 함유하며 그 속에는 besityl oxide, isomesityl oxide, methyl isobutyl ketone, α- 및 β-pinene, camphene, β-myrcene, dipentene, p-cymene, terpinene, terpinolene, trans-β-ocimene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消炎(소염), 活血(활혈), 해독,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폐렴, 廢農腫(폐농종), 淋病(임병), 疝氣(산기), 풍화치통, 옹저정종, 帶狀疱疹(대상포진), 皮膚瘙痒(피부소양)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塗布(도포)하거나 粉末(분말)하여 살포한다.
⑵鴨兒芹根(압아근근)
①약효 : 發表(발표), 散寒(산한), 止咳(지해), 化痰(화담)의 효능이 있다. 風寒感冒(풍한감모), 濕性(습성)의 咳嗽(해수), 타박상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9-30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또는 粉末(분말)하여 沖服(충복)한다.
⑶鴨兒芹果(압아근과)
①약효 : 順氣(순기), 消積(소적)의 효능이 있다. 소화불량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6-9g을 달여 차 대신 마신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파리풀 (0) | 2023.04.05 |
---|---|
[식물도감] 파란여로 (0) | 2023.04.04 |
[식물도감] 파대가리 (0) | 2023.04.04 |
[식물도감] 파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