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쥐꼬리풀

MinorMan 2023. 3. 17. 11:53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쥐꼬리풀

영문명: Spike colicroot

과국명: 백합과

과명: Liliaceae

속국명: 쥐꼬리풀속

속명: Aletris

비추천명: 분좌난,속심풀

정명학명: Aletris spicata (Thunb.) Franch.

이명학명: Aletris spicata (Thunb.) Franch. var. microantha Satake


<상세정보>

분포정보

전남(다도해, 안면도)에서 자란다.


꽃설명

꽃은 6-7월에 피며 통같고 길이 6-8mm로서 밑부분이 합쳐져 씨방에 붙으며 겉에 잔털이 있고 윗부분이 6개로 갈라진다. 꽃대는 높이 30-50㎝로서 꼬부라진 백색털이 있으며 몇개의 소엽이 달리고 이삭꽃차례는 길이 15-25㎝이며 포는 꽃보다 길거나 짧고 선형이다. 화피열편은 선형이며 연한 홍색이고 씨방은 하위이며 수술은 6개로서 화피보다 훨씬 짧다. 암술대는 가늘며 곧추선다.


열매설명

삭과는 타원형이고 길이 3mm정도로서 끝에 마른 꽃이 남아있으며 종자는 톱밥같다.


생육환경설명

따뜻한 곳의 산기슭에서 자란다.


잎설명

잎은 모여나기하며 선형이고 길이 15-30㎝, 폭 3-7mm로서 3맥이 뚜렷하다.


원산지

한국


뿌리설명

근경은 굵고 짧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설명

꽃대는 높이 30-50cm.


사용법

▶全草(전초) 또는 根(근)을 肺根草(폐근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6-7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淸肺(청폐), 化痰(화담), 止咳(지해), 活血(활혈), 살충의 효능이 있다. 咳嗽(해수), 吐血(토혈), 백일해, 천식, 肺癰(폐옹), 乳癰(유옹), 腸風血便(장풍혈변), 무월경, 小兒疳積(소아감적), 蛔蟲症(회충증)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쥐똥나무  (0) 2023.03.17
[식물도감] 쥐다래  (0) 2023.03.17
[식물도감] 쥐꼬리새풀  (0) 2023.03.17
[식물도감] 쥐꼬리새  (0) 2023.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