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인가목

MinorMan 2023. 3. 3. 06:25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인가목

영문명: Prickly rose

과국명: 장미과

과명: Rosaceae

속국명: 장미속

속명: Rosa

비추천명: 흰민둥인가목,흰인가목,관모인가목,금강찔레,둥근민둥인가목,민둥인가목,민인가목,제주가시나무,털민둥인가목

정명학명: Rosa acicularis Lindl.

이명학명: Rosa sayi Schwein.


<상세정보>

분포정보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고, 카자흐스탄, 북유럽, 북아메리카, 한국(자강, 양강, 함북, 평북, 평남, 강원, 충북, 경남)


노트

본 종은 북반구의 냉온대 지역을 중심으로 비교적 널리 분포한다(Kim, 2001; Gu and Robertson, 2003). . 이 두 아종은 선모의 분포양상 및 특히 염색체 수로 구분하고 있으나 (subsp. acicularis는 8배체, subsp. sayi는 6배체)(Lewis et al.,2014), 4배체, 6배체, 7배체 및 8배체까지 본 종에서 보고되는 다양한 염색체 수(Darlington and Wylie, 1956; Popek et al., 1991; Muratova et al., 1998; Volkova and Melnikova, 2001; Sedelnikova and Pimenov, 2002) 정보로 볼 때보다 세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원산지

한국


형태

생활형은 낙엽성 관목이며, 높이 1∼3m정도로 자란다. 줄기는 일반적으로 직립하고, 원통형으로 발달 하며, 가시는 밀생한다. 묵은 가지는 연녹색, 연갈색 또는 적황색을 띠고, 직경은 1.7∼4.7mm이며, 털은 없다. 일년생 가지는 연녹색에서 적갈색을 띠고, 직경은 1.4∼1.6mm정도이다. 가시는 좁은 원추형으로 횡단면은 다소 둥글며, 가시의 기부는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급격하게 넓어져 줄기에 부착되고, 길이는 약 4mm정도이다. 잎은 호생하며, 5∼9개의 소엽으로 이루어진 홀수우상복엽이다. 엽병을 포함한 복엽의 전체적인 크기는 8.1∼16.9 x 4.3∼9.8cm이다. 탁엽은 대부분 엽병에 붙고, 크기는 5.3∼27.3 x 3.9∼5.9mm이며, 선단부 양쪽은 피침형으로 뾰족해지고, 가장자리는 선모상 거치가 발달한다. 엽병은 길이 1.2∼5.6cm이고, 엽축을 따라 선모와 가시가 존재한다. 소엽은 넓은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이고, 크기 1.2∼5.7 x 0.6∼3.4cm이며, 표면은 무모, 이면은 주맥을 따라 털이 있다. 소엽의 엽선은 원두, 둔두 또는 예두이며, 엽연은 예거치 또는 복예거치가 발달하며, 엽저는 아원형 또은 넓은 쐐기형이다. 꽃 5∼6월에 피며, 가지 끝에 1∼2개(드물게 3개)의 양성화가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13.2∼53.4mm이고, 선모가 성기거나 조밀하게 존재하고 드물게 무모이다. 포는 있거나 없고,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가장자리는 선모상 거치가 발달한다. 화탁통은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며, 보통 매끄럽고 드물게 선모가 있다. 꽃받침은 5개이고, 피침형으로 정단부는 매우 길게 신장되며, 크기는 20.9∼42.8 x 1.4∼7.6mm, 황록색에서 연한 적색을 띤다. 결실기가 되면서 점차 표면을 향하여 모인다. 표면에는 잔털이 밀생하고, 이면에는 선모와 가시가 성기거나 조밀하게 분포한다. 화피는 5장이고, 직경 4.2∼5cm이며, 분홍색이다. 화피편은 도란형으로 크기 16.7∼29.2 x 15∼27mm이고, 선단부는 원두 또는 요두이며, 가장자리는 파상이고, 기부는 넓은 쐐기형이다. 수술은 다수이고, 암술대는 여러 개가 이생하며, 수술보다 짧고, 털이 있다. 열매는 장미과이고, 도란형 또는 좁은 타원형으로 크기 12.5∼28.4 x 4.7∼13.2mm이다. 표면은 매끈하고, 드물게 선모가 존재하기도 하며, 광택이 있고, 7∼9월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각진 난 형으로 크기 5∼7.7 x 1.5∼3mm이고, 털이 많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인도고무나무  (0) 2023.03.03
[식물도감] 인가목조팝나무  (0) 2023.03.03
[식물도감] 익모초  (0) 2023.03.03
[식물도감] 이팝나무  (0) 2023.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