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오구나무

MinorMan 2023. 2. 23. 05:42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오구나무

영문명: Chinese Tallow Tree, Vegetable-tallow

과국명: 대극과

과명: Euphorbiaceae

속국명: 사람주나무속

속명: Sapium

정명학명: Sapium sebiferum (L.) Roxb.

이명학명: Croton sebiferus L.


<상세정보>

번식방법

번식은 가을에 채취되는 종자를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파종상이 건조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진주지방에서는 한해를 자주 입는다.


분포정보

남부지방에서 식재하고 있다.


꽃설명

꽃은 일가화로서 6-7월에 피며 가지 끝의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윗부분에 10-15개의 수꽃이 달리고 향기가 있으며 밑부분에는 2-3개의 암꽃이 달린다. 수꽃의 꽃받침은 술잔 모양이고 수술은 2-3개이며 암꽃은 한쪽에 선체가 있는 작은포로 싸여 있고 꽃받침의 일부가 퇴화되며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설명

삭과는 구상 타원형이며 첨두이고 길이 1cm정도로서 9-11월에 흑색으로 익으며 3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종자는 납질(蠟質)로 덮여 있으며(이것으로 초를 만든다) 백색이고 길이가 7㎜이며 독이 있다.


생육환경설명

양수이고 내한성과 내건성은 약하고 바닷가에서 잘 자라고 도심지에서도 공해 피해가 적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고 약간 두꺼우며 길이 3-6cm의 삼각상 능형으로 예첨두, 절저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병은 길고 상단에 2개의 선점이 있다. 잎뒷면은 담녹백색이다.


원산지

중국 원산.


형태

낙엽활엽교목.


유사식물설명

▶사람주나무(S. japonicum): 잎은 타원형, 달걀모양, 도란상 타원형, 자르면 유액이 나온다.


특징

우리나라에 1930년경에 도입되었으며 맹아력이 강한 수종이다.


줄기설명

높이가 10m에 달한다. 나무껍질이 처음에는 평활하지만 나중에는 불규칙하게 세로로 갈라진다.


크기설명

수고 15m.


사용법

▶목재는 기구재나 펄프재로 쓰이고 잎은 염료용, 열매는 유지자원으로 이용되고 가을에 단풍이 훌륭하므로 가로수나 공원수로 남해안에 식재하면 좋다.

▶종자로 초를 만든다.

▶根皮(근피) 또는 莖皮(경피)는 (오구목근피), 잎은 오구엽, 종자는 오구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오구목근피

①조구나무의 코르크皮(피)를 제거한 근피 또는 경피로, 연중 수시로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나무껍질에는 xanthoxylin, sebigeric acid, 3,4-Di-o-methylellagic acid를 함유한다.

③약효 : 利水(이수), 消積(소적), 살충, 해독의 효능이 있다. 水腫(수종), 膨脹(팽창), 징하, 積聚(적취), 二便不通(이변불통), 濕毒(습독)에 의한 瘡(창), 疥癬(개선), 정독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신선한 것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거나 粉末(분말)을 고루 塗布(도포)한다.

⑵(오구엽)

①연중 수시로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Fridelin, β-sitosterol, ellagic acid, 沒食子酸(몰식자산), isoquercitrin을 함유한다. 건조한 잎에는 pyrogallol tannin 5.49%를 함유한다.

③약효 : 癰腫(옹종), 정창, 瘡疥(창개), 脚癬(각선), 濕疹(습진), 蛇傷(사상), 膣炎(질염)을 치료한다. 말, 멧돼지, 양, 개고기를 먹고 (정종)이 생겨 위중해진 증상에는 짓찧어 즙을 내어 1-2 (완)을 복용하면 毒(독)이 삭고 치유된다. 겨울에는 根(근)을 쓴다.

④용법/용량 : 4.5-12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짓찧은 즙에 술을 넣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塗布(도포)하던가 달인 液(액)으로 씻는다.

⑶오구자

①성분 : 과실에는 수분 7.62%, 灰分(회분) 6.78%, 단백질 76.4%, 섬유소 4.90%, 二酸化珪素(이산화규소) 0.065%, 칼륨 0.943%, 칼슘 0.27%, 마그네슘 0.875%, 철 0.032%, 인 1.60%, 질소 11.23%를 함유하고 아미노산에는 arginine, aspartic aicd, glutamic acid의 함유량이 비교적 높다. 종자의 蠟部分(납부분)에는 고체질 74.75%, 種子殼(종자각)에는 34.94%를 함유하고 種仁(종인)에는 油(유) 성분 64.1%를 함유하고 있다.

②약효 : 살충, 利水(이수), 通便(통변)의 효능이 있다. 疥癬(개선), 濕疹(습진), 군열, 水腫(수종), 便秘(변비)를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3-9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쥐어 짠 기름이나 또는 짓찧어서 塗布(도포)하거나 달인 液(액)으로 씻는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오동나무  (0) 2023.02.23
[식물도감] 오대산새밥  (0) 2023.02.23
[식물도감] 오갈피나무  (0) 2023.02.23
[식물도감] 오가나무  (0) 2023.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