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쑥부지깽이

MinorMan 2023. 2. 15. 02:01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쑥부지깽이

영문명: Treacle-mustard

과국명: 배추과

과명: Brassicaceae

속국명: 쑥부지깽이속

속명: Erysimum

비추천명: 넓은쑥부지깽이,민부지깽이,쑥부지깽이나물

정명학명: Erysimum cheiranthoides L.

이명학명: Erysimum cheiranthoides L. var. japonicum H.Boissieu


<상세정보>

분포정보

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 미국, 유럽, 아프리카 / 한국(중부 이북; 경상북도 안동시; 대구시)


꽃설명

꽃은 5-6월에 피며 황색으로서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꽃차례에 잔털이 있으며 꽃자루는 길이 5-7mm이다. 꽃받침조각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 2.8mm이며 꽃잎은 주걱모양이고 길이 4-4.5mm로서 화조(花爪)가 있다.


열매설명

열매는 장각과로서 길이 17~35mm이며 복모가 있고 암술머리는 반형(盤形)으로 굵어지며 끝이 약간 갈라지며 4개로 모가 진다. 종자는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1.2mm이고 한쪽에 15개 정도 들어 있다.


생육환경설명

산야에서 자란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없으며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4~6cm, 폭 6-8mm로서 밋밋한 가장자리가 다소 밖으로 말리고 회록색이 돈다.


원산지

한국


보호방안

자생지 확인이 필요하다.


형태

2년생 초본


특징

원줄기에 누운 털, 잎에는 별 모양의 털이 남


줄기설명

높이가 60cm에 달하고 원줄기에 복부(腹部)로 붙어 있는 복모가 있으며 잎에 성모가 있다.


크기설명

높이 60cm


사용법

▶쑥부지깽이, 부지깽이나물의 전초(全草)를 桂竹糖芥(계죽당개)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 가을철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②성분 : 전초에는 erysimoside, corchorosideA, erychroside, erychrozol, erycordine 등의 强心配糖體(강심배당체)가 함유되어 있다. 종자에는 K-strophanthin-β, erysimotoxin(別名(별명) erysimin, strophanthindigitoxose 배당체로 helveticoside라고도 한다), corchorosideA, helveticosol, erychroside, ersimoside, erysimosol 등의 강심배당체 및 strophanthidin을 함유한 외에 휘발성의 allylthiocyanate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强心(강심), 利尿(이뇨), 健脾(건비), 消食(소식), 和胃(화위)의 효능이 있다. 心悸(심계-動悸(동계)), 浮腫(부종), 소화불량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9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粉末(분말)하여 0.3-0.9g씩 복용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씀바귀  (0) 2023.02.15
[식물도감] 쓴풀  (0) 2023.02.15
[식물도감] 쑥부쟁이  (0) 2023.02.15
[식물도감] 쑥방망이  (0) 2023.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