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순비기나무

MinorMan 2023. 2. 12. 03:16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순비기나무

영문명: Beach vitex

과국명: 마편초과

과명: Verbenaceae

속국명: 순비기나무속

속명: Vitex

비추천명: 만형,만형자,만형자나무,풍나무

정명학명: Vitex rotundifolia L.f.

이명학명: Vitex trifolia L. var. obovata Benth.


<상세정보>

번식방법

번식은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한 후 이듬해 봄에 파종하거나 야생상태에서 줄기를 절단하여 삽목하여도 발근율이 높다.


분포정보

대만, 중국, 인도차이나, 말레이시아, 태평양 지역 섬과 호주, 일본; 경상북도 및 황해도 이남, 경기도에서 전라남도 및 제주도 해안가까지분포.


꽃설명

수상 원추형꽃차례는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 4 ~ 7cm로 짧은 꽃이 많이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술잔모양이고 흰색 털이 밀생하며, 꽃부리는 푸른 보라색이고 긴 쪽의 지름이 13mm로, 겉에 흰색 털이 있으며 밑부분의 열편은 중앙부가 흰색이고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7월 말 ~ 9월 초 개화한다.


열매설명

열매는 핵과로 원형이며 지름 5 ~ 7mm로 검은 보라색이며 10월 말 ~ 11월 초 성숙한다.


생육환경설명

바닷가에서 자란다. 바닷물에 닿아도 죽지 않는 내염성 수목이며 내한성이 강하다.


잎설명

잎은 마주나기하고 두꺼우며 달걀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2 ~ 4.5cm × 1.5 ~ 3cm로, 표면에 잔털이 밀생하고 회백색이 돌며, 뒷면은 은흰색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잎자루 길이는 5~7mm이다.


원산지

한국.


형태

낙엽 활엽 관목.


유사식물설명

▶목형(V. cannabifolia Sieb. et Zucc.): 소엽이 대부분 3개이고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있고 중국산이며 남부지방에서 심고 있다.


특징

줄기에서 뿌리를 내려 모래밭을 기어가며 산다. 전체에 회색빛이 나는 흰색의 잔털이 퍼져 난다.


줄기설명

옆으로 또는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회백색의 잔털이 있고, 일년생가지는 약간 네모지며 백색털이 밀생하여 전체가 백분으로 덮여 있는 것 같다.


사용법

▶잎과 가지에는 향기가 있어 목욕탕에 넣어 향료로 쓴다.

▶내한성이 강하여 해변조경에 있어 군식으로 이용하면 좋다.

▶과실은 蔓荊子(만형자), 葉(엽)은 蔓荊子葉(만형자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蔓荊子(만형자)

①가을에 과실이 성숙했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협잡물을 제거한 다음 건조한 장소에 저장하고 습기나 곰팡이를 방지한다.

②성분 : 순비기나무의 과실과 잎은 精油(정유)를 함유한다. 주요성분은 camphene과 pinene이며, 미량의 alkaloid와 비타민A도 함유한다. 과실은 vitexicarpin 즉 casticin, artemetin을 함유한다.

③약효 : 風熱(풍열) 疏散(소산)하고 머리를 맑게 하며 눈을 利(이)하는 효능이 있다. 風熱感氣(풍열감기), 正·偏頭痛(정·편두통), 齒痛(치통), 赤眼(적안-눈의 충혈), 目睛內痛(목정내통), 昏暗多淚(혼암다루-눈이 침침하고 눈물이 많이 나는 증상), 濕痺拘攣(습비구련-관절염에 의하여 수족이 저린 증상)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 술에 담그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만든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⑵蔓荊子葉(만형자엽)

①성분 : 가는 가지(건조한 것)는 精油(정유) 0.11-0.12%를 함유한다. 잎(건조한 것)은 정유를 0.28% 함유하고 기름은 α-pinene과 camphene 55%, terpinyl acetate 10%, diterpene alcohol 20%를 함유한다. 잎 속에는 또한 casticin, luteolin-7-glycoside 및 tetrahydroxy monomethoxy flavone-α-d-glu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잎은 타박상을 치료한다. 짓찧어서 술로 沖服(충복)하고 짜낸 찌꺼기는 바른다. 달여서 복용하면 신경성 두통을 치료한다. 또 枝葉(지엽)은 消腫(소종), 止痛(지통)하며 刀傷(도상)의 出血(출혈), 타박상, 류머티즘 疼痛(동통)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3-10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혹은 짓찧어 낸 즙을 술에 따라서 마신다. <외용> 으깨서 바른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순채  (0) 2023.02.12
[식물도감] 순안억새  (0) 2023.02.12
[식물도감] 순무  (0) 2023.02.12
[식물도감] 숙은처녀치마  (0) 2023.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