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사철나무
영문명: Evergreen spindletree
과국명: 노박덩굴과
과명: Celastraceae
속국명: 화살나무속
속명: Euonymus
비추천명: 개동굴나무,겨우사리나무,긴잎사철나무,넓은잎사철나무,동청목,들쭉나무,들축나무,무른나무,무른사철나무,뾰족잎사철나무,푸른나무
정명학명: Euonymus japonicus Thunb.
이명학명: Euonymus japonicus Thunb. var. latifolia André
<상세정보>
방제방법
백분병에 걸리면 질소 비료를 줄이고 인산, 카리질 비료를 많이 준다. 약제로는 카라센을 뿌리면 유효하다. 충해에는 스미치온이나 디프테렉스를 뿌려 구제한다.
번식방법
▶번식은 실생 및 삽목, 분주, 취목 등의 무성생식으로 행한다.
①실생 :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밭에 파종한다. 종자는 노천매장 후 파종한다. 종자의 경우 발아력이 매우 높다.
②삽목 : 일반적으로 번식은 주로 삽목을 이용하는 것이 쉽다.
ⓐ삽목은 봄 싹트기 전과 장마 때, 그리고 가을의 9-11월까지 할 수 있다.
ⓑ삽수는, 봄에 삽목할 경우는 지난해 가지를 자라 쓰며, 여름과 가을에는 그해 자란 가지의 단단하고 굳은 것을 쓴다. 익은 정도는 가지를 꺾어 봐서 뚝 꺽여지며 한쪽 껍질이 겨우 붙어 있는 정도로 굳은 것이 좋다. 길이는 10cm정도로서 세마디 정도 붙으면 된다.
ⓒ밑쪽 잎은 따내고 남은 잎은 반 정도 잘라 버리고 모나 진흙에 1/3정도 묻히게 꽂는다.
ⓓ삽목상은 반그늘지게 차광하여 주고 새싹이 3cm정도 자라면 이식해 비배한다.
병충해정보
새로 나온 잎은 백분병에 걸리기 쉬우며 잎이 하얗게 된다. 충해는 봄에서 여름에 걸쳐 자벌레가 많이 발생하여 잎을 갉아 먹는다.
분포정보
중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일본 / 황해도 이남과 강원도 이남에 분포, 전국 식재.
재배특성
▶적지 : 해를 전혀 못받는 지나친 그늘과 심한 건조지만 아니면 아무곳에서난 잘 자란다.
▶이식 : 겨울을 제외하고는 어느 때라도 이식할 수 있으며 심을 때는 잔가지를 짧게 전정하여 심는 것이 좋다. 심을 때 빨리 자라고 잎 빛깔을 곱게 하려면 밑거름으로 퇴비, 깻묵, 닭똥, 재 같은 것을 넣고 심는 것이 좋다. 울타리용으로 심을 때눈 60㎝ 정도 크기의 묘목을 지그재그로 심어 위를 전정하면서 원하는 높이까지 기른다.
▶전정 : 4-10월까지 생육하므로 가지가 자라는데 따라 2-3회 전정을 되풀이하면 가지가 밀생하여 아름다운 수형이 된다.
꽃설명
꽃은 암수한꽃으로 6 ~ 7월에 피며, 지름 7mm로 연한 황록색이며 잎겨드랑이의 취산꽃차례에 달리고, 꽃부분은 4수이다.
열매설명
열매는 삭과이며 둥글고, 지름 8 ~ 9mm로 붉은색이며, 4개로 갈라져서 황적색 종의로 싸인 종자가 나오며, 종자는 흰색으로 길이가 7mm로 한쪽에 줄이 있고, 10월에 성숙한다.
생육환경설명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나 비교적 토질은 가리지 않는 편이다. 보통으로 관수 관리하며 내건성 식물이다. 음수 내지는 반음수로 양지에서도 잘 자라고 노지에서 월동하며 전국적으로 재배가 가능하다. 해풍과 염기에 강하며 내음력과 공해에 대한 저항성도 강하다.
잎설명
잎은 마주나기하며, 두텁고 거꿀달걀형 또는 좁은 타원형으로 예두 또는 무딘형이고, 예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3 ~ 7cm × 3 ~ 4cm로, 표면에 윤채가 있으며, 뒷면은 황록색이고 둔한 톱니가 있다.
원산지
한국,만주,아무르,우수리,몽고,시베리아,유럽
수피
나무껍질은 회흑색이 나며, 새로 난 가지는 녹색으로 털이 없고 많은 가지가 난다.
보호방안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1997)
뿌리설명
잔뿌리가 많다.
형태
상록 활엽 관목.
유사식물설명
▶무룬나무(var.macrophylla REGEL.): 잎이 타원형이고 길이 5-7.5cm이다.
▶긴잎사철(var.longifolia NAK.): 잎이 길이 6-9cm, 나비 2-3.5cm이다.
▶흰점사철 : 잎가장자리에 백색 반점이 있다.
▶은테사철(for.albomarginata Rehder): 잎 주위에 흰색 테가 있다.
▶금반사철(for.aureo-variegata Regel): 잎에 황색 반점이 있다.
▶금테사철(for.aureo-marginata Rehder): 잎가장자리가 황색이다.
▶황록사철(for.viridi-variegata Rehder): 잎에 황색과 녹색 반점이 있다.
특징
▶울산광역시 울주군 목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65호에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는 사철나무외에 동백나무, 후박나무, 자귀나무, 다정큼나무, 소악등이 많고 볼레나무, 벚나무, 개산초나무, 팽나무등이 자란다. 면적은 15,074㎡정도이다.
▶개화기 때 똥파리가 많이 모여들어 위생적인 곳에서는 정원수로 적합하지 않다.
줄기설명
가지는 녹색이며, 매끈하다.
크기설명
높이 3m.
사용법
▶정원수나 생울타리용수, 경계식재, 차폐식재, 방화수 등으로 이용된다.
▶根(근)을 調經草(조경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연중 채취한다.
②성분 : 잎은 triterpenoid인 friedelin, epifriedelanol, friedelanol이 함유되어 있다. 또 quercetin-3-β-d-gluco-7-α-l-rhamnoside 및 kaempferol-3-β-l-rhamnoside 등의 flavonoid가 함유되어 있다. 잎의 황색부분중의 flavonoid 화합물은 녹색부분중의 것보다 많다.
③약효 : 調經(조경), 化瘀(화어)의 효능이 있다. 월경불순, 월경통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調經草(조경초) 30g과 고기를 약한 불에 달여서 복용한다. 월경통에는 조경초 15g, 水葫蘆(수호로) 15g을 약한 불로 천천히 달여서 복용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사철베고니아 (0) | 2023.02.08 |
---|---|
[식물도감] 사철란 (0) | 2023.02.08 |
[식물도감] 쇠방동사니 (0) | 2023.02.07 |
[식물도감] 쇠물푸레나무 (0) | 2023.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