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소철
과국명: 소철과
과명: Cycadaceae
속국명: 소철속
속명: Cycas
정명학명: Cycas revoluta Thunb.
이명학명: Cycas inermis Lour.
<상세정보>
번식방법
▶실생 및 무성으로 번식한다.
1.실생 : 종자는 과육을 제거한 후 습층저장을 하였다가 파종하면 1-3년만에 발아하나 진한 황산에 1-2시간 처리를 하거나 기계적으로 씨껍질을 깍아내면 발아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2.무성생식 : 4-5월에 줄기를 잘라 약간 건조시켜 물이 잘 빠지는 모래땅에 삽목한다. 또한 분주(分株)로도 번식한다.
분포정보
일본; 제주도 식재.
꽃설명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수배우체 원줄기 끝에 달리고 길이 50 ~ 60cm, 폭 10 ~ 13cm로서 많은 씨앗바늘로 된 구과형이며 비늘조각 뒤쪽에 꽃밥이 달린다. 암배우체는 원줄기 끝에 둥글게 모여 달리고 원줄기에 가까운 양쪽에 3 ~ 5개의 밑씨가 달리며 윗부분에서 황갈색의 털같은 것이 밀생한다. 자생지에서 6 ~ 8월에 개화한다.
열매설명
종자는 길이 4cm정도로 편평하고 씨껍질은 적색이며 10월에 성숙한다. 익은 종자 말린 것을 무루자(無漏子)라고 한다.
생육환경설명
▶제주도에서는 뜰에서도 자라지만 기타 지역에서는 온실이나 집안에서 재배한다.
잎설명
끝에서 많은 잎이 돌려나기하며 홀수깃모양겹잎이고, 소엽은 어긋나기하며 선형이고 가장자리가 다소 뒤로 말리고, 길이와 폭이 각 8 ~ 20cm × 5 ~ 8cm이다.
원산지
한국
수피
수피 잎자국으로 둘러싸여 자란다.
형태
상록 침엽 관목 또는 소교목.
유사식물설명
▶대만소철(C. taiwaniana): 열편 가장자리가 말리지 않는다.
▶운남소철(C. siamensis): 줄기가 왜소하고 기부가 팽창되어 있다.
줄기설명
가지가 없고 줄기가 하나로 자라거나 밑부분에서 작은 것이 돋으며 높이 1~4m이고 원주형으로서 잎자국이 겉을 둘러싸며 끝에서 많은 잎이 바퀴모양으로 퍼진다.
크기설명
높이 1.5 ~ 5m.
사용법
▶정원수, 유실수로 이용한다.
▶잎은 鳳尾草葉(봉미초엽), 꽃은 鳳尾草花(봉미초화), 종자는 鐵樹果(철수과)이며, 약용한다.
⑴鳳尾草葉(봉미초엽) - ①성분 : 잎은 cycasin을 0.027-0.061%함유한다. 이 配糖體(배당체)는 유독하지만 항암작용이 있다. 그 밖에 소철 flavone을 함유한다. 줄기도 cycasin을 함유하며(껍질을 벗긴 후의 함량은 0.023%), 또한 대량의 전분(44.50%), 단백질, 지방, 당류, 사과산, arginine, choline 등을 함유한다. ②약효 : 理氣(이기), 祛風(거풍), 해독, 活血(활혈)의 효능이 있다. 肝胃氣痛(간위기통), 월경폐지, 난산, 痰多咳嗽(담다해수), 토혈, 타박, 刀傷(도상)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또는 약성이 남을 정도로 볶아 가루 내어 복용한다. <외용> 약성이 남을 정도로 볶아 가루내어 조합해서 바른다.
⑵鳳尾草花(봉미초화) - ①여름에 채취한다. ②성분 : 花粉(화분)은 adenine, choline, 단백질, 당류 등을 함유한다. ③약효 : 活血(활혈), 祛瘀(거어)의 효능이 있다. 토혈, 해수시 출혈(咳嗽時 出血), 타박상, 遺精(유정), 帶下(대하)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⑶鐵樹果(철수과) - ①성분 : 구과(종자를 포함함)는 cycasin 0.086%(종자의 포함율은 0.2-0.3%), neocycasin A,B,C,D,E,F,G, 다량의 遊離(유리) palmitic acid(다종피(多種皮) 중에는 6.95%), 다량의 전분을 함유하는 외에 β-carotene, cryptoxanthin, zeaxanthine 등의 색소를 함유한다. ②약효 : 收斂劑(수렴제)가 되며 通經(통경) 및 소화를 ednau 鎭咳(진해), 祛痰(거담)의 효능이 있다. 과실내의 전분은 이질 및 딸꾹질을 치료한다. 또 소염, 지혈하며 痰(담)이 많은 咳嗽(해수), 이질, 刀傷(도상), 타박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0-15g을 달이거나 가루 내어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바른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소태나무 (0) | 2023.02.06 |
---|---|
[식물도감] 솔나물 (0) | 2023.02.06 |
[식물도감] 솔나리 (0) | 2023.02.06 |
[식물도감] 소영도리나무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