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새우말

MinorMan 2023. 1. 31. 16:11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새우말

영문명: Surfgrass

과국명: 거머리말과

과명: Zosteraceae

속국명: 새우말속

속명: Phyllospadix

정명학명: Phyllospadix iwatensis Makino


<상세정보>

분포정보

전국 각처의 바닷가에서 자란다.


꽃설명

꽃은 이가화로서 3월에 피며 꽃차례는 땅속줄기에서 나오고 포 안에 들어 있으며 길이 10cm정도이고 화경은 길이 3cm정도이다. 포는 끝에 잎몸이 달리며 가장자리가 막질이고 裸花가 2줄로 달린다. 암꽃은 꽃자루가 없는 1개의 씨방으로 되며 수꽃은 화경이 없고 꽃밥은 1실이다.


열매설명

열매는 화살밑과 같은 심장형으로서 길이와 나비가 각 4mm정도이며 양끝이 좁다.


생육환경설명

▶얕은 바다속 1-8m밑의 바위 틈에 난다.


잎설명

잎은 끝이 둥글고 선형이며 길이 20-100cm, 폭 2-4.5mm이고 3맥이 있으며 윗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양면이 평활하며 밑부분이 넓어져서 엽초로 되고 끝이 귓같이 자란다.


원산지

한국


뿌리설명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고 마디 사이가 짧으며 털로 덮여 있고 잎이 모여나기한다.


형태

다년생 해초


특징

꽃차례를 옆에서 보았을 때 그 모양이 새우와 비슷하기 때문에 새우말이라고 한다.


줄기설명

줄기는 짧으며 길이 8cm로 납작하다.


크기설명

줄기 8cm, 잎의 길이 20-100cm


사용법

▶全草를 海帶(해대)라고 하며 약용한다.

①봄, 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담수에 씻어 그늘에 말린다.

②성분 : 건조된 거머리말에는 수분 28.5%, 회분 17%, 粗纖維(조섬유) 21.2%, 단백질 4.81%, 지방 1.2%, pentosan 8.82%, 또 galacturon 산, d-galactose, arabinose, cylose, 0-methyl-d-xylose, apiose를 갖는 josterin도 함유되어 있다. 또 tannin, vitamin B2 등도 함유되어 있으며 沃度(옥도) 함유량은 海藻(해조)에는 미치지 못한다.

③약효 : 軟堅化痰(연견화담), 利水泄熱(이수설열)의 효능이 있다. (영류결핵-甲狀腺腫瘤(갑상선종유)), 浮腫(부종), 각기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4.5-9g을 달여서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새콩  (0) 2023.01.31
[식물도감] 새이삭여뀌  (0) 2023.01.31
[식물도감] 새우난초  (0) 2023.01.31
[식물도감] 새우나무  (0) 2023.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