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당매자나무

MinorMan 2022. 12. 25. 12:02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당매자나무

영문명: Chinese barberry

과국명: 매자나무과

과명: Berberidaceae

속국명: 매자나무속

속명: Berberis

비추천명: 가는잎매자나무

정명학명: Berberis chinensis Poir.

이명학명: Berberis poiretii C.K.Schneid.


<상세정보>

번식방법

▶번식은 실생이나 삽목에 의한다.

①실생 : 과피를 제거한 종자를 노천매장하였다가 봄에 파종한다.

②삽목 : 3-4월, 6-7월, 9월에 가지삽목을 하여도 뿌리가 잘 내리며 발근촉진제 처리를 해주면 효과적이다.


분포정보

▶중국, 만주, 간도, 몽고, 유럽 등지에도 분포한다.

▶경기도 수원과 강원도, 평북 등지의 표고 800m이하에서 자생하고, 남부지방에서 관상용으로 재식한다.


꽃설명

꽃은 양성꽃으로서 4~5월에 피며 액출(腋出)하여 아래로 늘어지고 황색이지만 표면은 붉은 빛이 돌며 짧은 가지위의 총상꽃차례에 8-15개의 꽃이 달린다. 꽃잎은 황색으로 6개이다.


열매설명

과실은 장과로서 길이가 약 1cm 정도이며 타원형 또는 긴타원모양이고 9월에 붉게 익는다.


생육환경설명

▶산과 들에 나고 내한성이 커서 전국에서 볼 수 있으며 비옥하고 습기가 적당한 사질양토를 좋아한다.

▶내염성과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이 크므로 해안지방과 도심지에서도 잘 자란다.


잎설명

잎은 일년생가지에서 어긋나기하고 짧은 가지에서는 모여나기하며 거꿀피침모양이고 길이 2~4cm로서 예두 또는 절두이며 예저이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록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원산지

한국.


형태

낙엽활엽관목.


유사식물설명

▶매발톱나무(B. amurensis)

▶섬매자나무(B.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매자나무(B. koreana)

▶연밥매자나무(B. koreana var. ellipsoidea)

▶왕매발톱나무(B. amurensis var. latifolia Nak.)


특징

맹아력이 강하다.


줄기설명

높이가 2m에 달하며 가지에 털이 없으며 다소 능선이 지며 자갈색이고 가시는 단순하거나 3개로 갈라지며 길이 0.5-1cm이다.


크기설명

높이 약 2m.


사용법

▶줄기에 예리한 가시가 있고 전정으로 수형이 잘 다듬어지므로 울타리용이나 관상수,정원수로 적합하다.

▶뿌리 및 莖枝(경지)를 小蘗(소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가을에서 이듬해 봄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매발톱의 전초에는 alkaloid를 함유하며 根皮(근피)는 대량의 berberine 외에 palmatine, columbamine, jatrorrhizine 및 oxyacanthine이 함유되어 있다. 잎에도 berberine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燥濕(조습), 消炎(소염), 해독의 효능이 있다. 급성장염, 이질, 황달, 熱痺(열비-熱性 全身症狀(열성 전신증상)에 수반하는 痺證(비증)), 나력, 폐렴, 인후부의 염증, 骨蒸(골증-結核性發熱(결핵성발열)), 결막염, 癰腫(옹종), 瘡癤(창절), 血崩(혈붕)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9g을 달이거나 돼지의 살코기와 같이 약한 불로 삶아서 먹는다. <외용> 煎液(전액)을 點眼(점안)하거나 粉末(분말)하여 살포 또는 煎液(전액)을 가열하여 바른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당분취  (0) 2022.12.25
[식물도감] 당버들  (0) 2022.12.25
[식물도감] 당마가목  (0) 2022.12.25
[식물도감] 당단풍나무  (0) 2022.12.24